성지은
[The Psychology Times=성지은 ]
pixabay
“왜 저 사람은 어른한테 바락바락 대드는 거지?”
“분명 자신이 잘못한 걸 알고 있을 텐데 왜 핑계를 대는 거지?”
“왜 사랑하는 연인에게 화풀이를 하는 거지?”
사람들은 상대방이 이해하기 힘든 행동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현상은 왜 발생하는 것일까?
사람들은 저마다 각자의 부모님, 상사, 친구에게 받은 상처가 있다. 이처럼 대부분 상처는 인간관계에서 비롯된다. 그러나 자신의 상처가 아물지 못한 채 성장하거나 상처를 방관할 경우, 마음속 어딘가에 메우지 못한 구덩이가 생기게 된다.
이를 미해결 과제라고 하며, 자신의 상처를 잊어버리거나 기억하고 있어도, 어디서부터 어떻게 잘못된 것인지, 내 잘못인지 상대 잘못인지 파악을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미해결 과제로부터 우리는 각 상황에 따라서 방어기제를 발동하게 된다. 방어기제는 자아가 위협받는 상황에서 무의식적으로 자신을 속이거나 상황을 다르게 해석해, 감정적 상처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정신분석 용어이다.
예를 들어 대학교에서 팀원들과 과제를 하던 중, 잘못된 자료 조사 방식으로 조장에게 혼나는 경우, 방어기제는 사람마다 한 가지 또는 두 가지 이상의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 위 상황에 따른 각 방어기제는 다음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
첫 번째, 자신이 억울하게 혼이 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감정을 표출하지 못하고 참는 억압(repression)이 있다.
두 번째, 상대방의 말을 듣거나 보지 않고 왜곡해서 회피하거나, 자신이 잘못된 방식으로 자료조사를 해왔을 리 없다며 부인하는 부정(denial)이 있다.
세 번째, 조장이 내게 화를 내자 조장이 나를 싫어해서 화를 내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투사(projection)가 있다. 즉, 자신이 받아들일 수 없는 생각이나 욕망 등을 자신이 아닌 외부 환경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네 번째, 조장에게 혼난 후 조장에 대해 반감이 생겼으나, 조장 앞에서는 자신의 마음과는 반대로 친절하게 대해주는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이 있다.
다섯 번째, 조장에게 혼난 후에 자신의 친구에게 화풀이를 하는 전위(displacement)가 있다.
여섯 번째, 자료조사를 할 때 시간이 부족했기 때문에 나무위키에서 자료를 가져온 것으로, 시간이 넉넉했다면 그렇지 않았을 것이라고 합리화(rationalization)하는 것이 있다.
일곱 번째, 과제에서 받은 스트레스를 운동, 미술, 음악 등으로 푸는 승화(sublimation)가 있다.
여덟 번째, 적대감을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못할 때, 수동적인 태도로 적대감이나 공격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것으로, 상대방의 말에 침묵하는 것 등 수동-공격성(passive aggression)이 있다.
방어기제는 상황에 따라서 더 적절하고, 옳은 방향으로 쓰일 수 있기 때문에 어떤 것이 더 낫다고는 할 수 없다. 하지만 굳이 나누자면 성숙한 방어기제는 대표적으로 유머와 이타주의 등이 있다.
유머는 상황을 유쾌하게 풀어나가면서 불쾌한 일을 재치 있게 풀어나가는 것이고, 이타주의는 남을 도우면서 자신의 불쾌한 일에서 자신이 얻고자 했던 것을 베푸는 것이다.
그러므로 방어기제는 아물지 않은 상처에서 비롯되어, 다듬어지지 않은 나의 마음을 대변한다고 볼 수 있다. 때문에 각자가 마음에 난 상처를 들어다보고 치료한다면 충분히 미성숙한 방어기제에서 성숙한 방어기제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렸을 때 왕따를 당한 경험으로, 누군가가 내 쪽을 보며 수군거리기 시작하면, 나를 비난하는 것으로 착가해 그들에게 다가가 화를 내거나 도망칠 수 있다. 이때 왕따를 당한 경험을 치료하여, 더 이상 그 경험으로부터 위협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는다면 위와 같이 필요하지 않는 방어기제가 발동하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필자는 성숙하고, 때에 따라 더 좋은 방어기제를 발동하기 위해 그들의 의식, 무의식에 남아있는 자신의 상처를 한번 돌아보고 상처를 치료하는 것을 권하고 싶다. 자신의 방어기제에 대해 생각하는 것은 우리의 삶을 더 행복하게 살고, 나 자신을 사랑할 수 있도록 만들어줄 것이다.
지난기사
행복한 다문화 가족을 만드는 "부모 교육"의 비밀 3가지
[참고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방어기제 [defense mechanism, 防禦機制]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방어 기제 [defense mechanism]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tjdwldms0316@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