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오늘도 노력하는 당신은 빛난다 - 능력과 노력을 바라보는 우리의 관점에 대하여
  • 기사등록 2023-05-10 14:26:20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이은세 ]



노력하는 사람과 타고난 사람


이번 중간고사에서 A와 B는 둘 다 만점을 받았다. A는 일주일 동안 시험공부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 좋은 결과를 받았다. 반면에 B는 큰 노력을 들이지 않고 쉬엄쉬엄 공부했음에도 좋은 결과를 받았다. 당신은 A와 B 두 사람 중에 누가 더 똑똑한 사람이라고 생각하는가?



대부분의 사람은 B가 더 똑똑하다고 답할 것이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적은 노력을 들여 좋은 결과를 얻는 사람의 능력이 뛰어나다고 생각한다. 같은 결과를 얻은 두 사람이 있을 때 시간과 노력을 덜 들인 사람은 소위 ‘타고난 사람’으로 여겨진다. 즉, 우리에게는 노력과 능력의 관계를 역상관 관계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한쪽이 커지면 다른 한쪽은 작아지는 관계) 하지만 6살 아이에게 같은 질문을 한다면, 아이는 노력을 많이 한 사람이 더 똑똑한 사람이라고 답할 것이다. 발달 과정에 따라 일반적으로 9세부터 B를 더 똑똑한 사람이라고 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력과 능력에 대한 이러한 관점의 차이는 우리의 동기에 영향을 미친다. 이런 흥미로운 차이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노력과 능력의 상관관계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를 하나 소개하려 한다.

 



우리를 실패에 취약해지게 만드는 생각


노력과 능력에 대한 개념과 실제 수행 능력 간의 관계를 연구한 이 연구는 능력에 대한 관점의 개인차가 존재하는 아이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아이들 중에는 노력이 능력이라고 생각하는 아이도 있고, 노력이 능력과 역상관 관계라고 생각하는 아이도 있었다. 연구자는 아이들에게 가짜 문제들 몇 개를 제시하고 아이들의 실제 수행과는 무관하게 50%의 아이들에게는 그들이 성공했다고 말해주고 나머지 50%의 아이들에게는 그들이 실패했다고 말해주었다. 그 후에는 진짜 문제들에 대한 아이들의 실제 수행 결과를 측정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노력이 능력이라고 생각했던 아이들은 성공했다고 들은 조건과 실패했다고 들은 조건에서 진짜 문제에 대한 수행 능력에 큰 변화가 없었다. 반면에 능력과 노력이 역상관 관계라고 생각하는 아이들은 성공했다고 들은 조건에서는 다음 문제에 대한 수행이 높았지만 실패했다고 들은 조건들은 다음 문제에 대한 수행이 저조해지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노력과 능력이 역상관 관계라고 생각하면 실패에 취약해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노력을 덜 해도 수행이 높을 때 능력이 높은 것으로 보는 아이들은 실패의 원인을 능력의 부족으로 돌리기 때문에 잘 포기하거나 수행을 덜 잘하게 되는 것이다. 반면에 노력도 능력이라고 생각하는 아이들을 실패의 원인을 노력의 부족으로 돌리기 때문에 실패를 경험해도 성공을 위해 다시 도전하고 더 노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노력하는 나를 칭찬하기


앞선 연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노력과 능력이 역상관 관계라고 생각하는 것이 우리를 실패에 취약해지게 만든다는 점이다. 이런 안타까운 현실을 변화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바로 ‘칭찬’이다. 칭찬은 크게 능력에 대한 칭찬, 노력에 대한 칭찬 두 종류로 나뉜다. 그중 실패에도 우리가 다시금 도전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칭찬은 바로 노력에 대한 칭찬이다. 


우리는 때론 ‘내가 능력이 부족해서 그래’라며 쉽게 뭔가를 포기해버리곤 한다. 하지만 그런 우리도 한때는 노력하는 사람을 똑똑한 사람이라고 생각했던 어린 시절이 있었다는 것을 되새기며 노력하는 우리의 모습을 스스로 더 칭찬하는 건 어떨까? 내가 나를 칭찬하는 것만으로도 우리는 실패에도 다시 도전할 용기가 생길지 모른다. 오늘도 노력하는 당신은 멋있는 사람이다 :)








지난기사

나는 오늘도 밥 한번 먹자는 기약 없는 약속을 했다

당신은 어떤 광고가 더 끌리는가?

너 나의 친구가 되어라!

세계적인 브랜드들이 사랑하는 그들, 엠버서더

혹시 오늘도 인생 네컷 찍으셨나요?






자료 출처

- Miller, A. (1985). A developmental study of the cognitive basis of performance impairment after fail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9(2), 529–538. 

- Mueller, C. M., & Dweck, C. S. (1998). Praise for intelligence can undermine children's motivation and performa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75(1), 33.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6253
  • 기사등록 2023-05-10 14:26:2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