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유시연 ]


 

친구들끼리 핸드폰을 하다가, 삼성 vs 애플로 의견이 갈리는 경험을 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아이폰은 특유의 카메라 감성과 심플한 디자인으로, 갤럭시는 최근 멀리서도 잘 보이는 렌즈의 성능으로 각자의 마니아층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우리가 아이폰 유저들 사이에서 간혹 발견할 수 있는 케이스는, 아이폰뿐만 아니라 에어팟(무선 이어폰), 아이패드(태블릿 PC), 맥북(노트북)까지 자신의 모든 전자제품을 애플사의 제품으로 통일하는 강한 충성심을 보이는 경우이다. 이렇게 특정 라인으로 제품을 통일하려는 현상을 ‘디드로 효과’로 설명할 수 있다.

 

‘디드로 효과(Diderot effect)’는 하나의 제품을 구입한 뒤에, 그 제품과 잘 어울리는 다른 제품을 연속적으로 구매하는 행동을 설명하는 심리 현상이다. 자신이 가진 물건들에 통일성을 준다는 점에서 ‘디드로 통일성(Diderot conformity)’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프랑스의 철학자 드니 디드로는 자신의 에세이 <나의 오래된 가운과의 이별에 대한 미련(Regrets on Parting with My Old Dressing Gown)>에서 친구의 이야기를 소개했는데, 이것이 디드로 효과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친구가 진홍색 비단 가운을 선물받고, 자신의 서재와 가운이 잘 어울리지 않자 책상, 책꽃이, 의자 등 서재의 가구들을 순서대로 바꿨다는 일화가 그 내용이었다.

 

기사 앞부분에서 소개한 사례와 같이, 우리가 일상에서 가장 잘 찾아볼 수 있는 디드로 효과의 예시로는 애플(Apple)사가 있다. 애플은 회사 특유의 매끄러운 제품 겉면과, 사과를 한 입 베어문 로고를 통일성 있게 제품에 새겨 넣음으로써 같은 회사 제품들 간의 연관성을 높였다. 이는 애플의 제품의 기능뿐만 아니라 특유의 디자인 스타일에 매력을 느낀 소비자층이 해당 브랜드의 제품을 점차 사용하도록 하는 디드로 효과의 시작점으로 작용한다.

 

디드로 효과를 이용해 소비를 유도하는 마케팅 전략은 특정 브랜드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다이소는 매 시즌, 계절감을 살린 제품 라인을 출시한다. 봄이면 벚꽃을 상징으로 한 연분홍색, 여름엔 청량감이 돋보이는 비치 디자인 등을 귀여운 캐릭터로 승화시켜 텀블러부터 포스트잇, 담요, 다이어리 등 다양한 굿즈들을 선보인다. 소비자들은 하나의 제품만 구매할 수도 있지만 비슷한 톤을 선보이는 제품들을 다양한 종류로 구매하여 충족감을 느낀다. 이처럼, 디드로 효과는 개인의 취향에 잘 부합하는 디자인 하나만으로 수많은 제품을 구현하고, 소비를 유도한다는 점에서 경제적으로 큰 영향력을 갖는다.

 

이외에도 디드로 효과는 특정 아티스트의 미술 작품을 제품 디자인과 접목시켜, 아티스트의 팬층을 제품의 소비자로 끌어들이는 등, 산업 분야의 소비 유도 마케팅 과정에서 활발히 활용된다. 이는 제품을 구매할 때, 소비자들이 단순히 기능적 측면만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눈에 직접적으로 보이는 심미적 측면, 이로 인한 정서적 측면에도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판매자의 입장에선 구매를 유도할 수 있어 좋지만, 소비자의 입장에선 충동구매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무조건 좋은 소비 습관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앞으로는 자신의 취향에 맞게 모든 제품들을 통일하는 것도 좋지만, 환경과 경제적 상황을 생각해 정말 나에게 필요한 물건인지, 또 이 물건들을 구매하는 것이 불필요하진 않은지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습관을 들이는 것은 어떨까?







지난기사

꿈으로 도망치는 아이들

학폭 연예인은 왜 활동하면 안되는 걸까?

인생은 한 방이야!_당신이 헤어나올 수 없는 이유

베르테르의 슬픔은 전염되는가?

당신이 첫사랑을 잊을 수 없는 이유

내가 사랑하는 모든 최애들에게

무식하면 용감하다. 당신의 용감함은 믿을 수 있습니까?







* 참고문헌

1) 장현. (2017). 디드로효과가 연관구매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통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67-270. 

2) 이지은(Ji Eun Lee),and 전주언(Joo Eon Jeon). "심미적 브랜드의 디드로 효과." 마케팅연구 28.5 (2013): 65-90. 

3) 김상희. "디드로 효과를 활용한 시각 디자인 요소가 MZ세대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22. 서울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6469
  • 기사등록 2023-06-07 07:41:5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