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진원
[The Psychology Times=서진원 ]
Cool with you 뮤직비디오 Youtube 캡쳐
지난 7월 발매된 뉴진스의 2집 'get up'의 수록곡 'cool with you'는 영화 같은 뮤직 비디오로 화제였다. 뮤직 비디오 속 주인공은 슈퍼모델 정호연과 중국의 유명 배우 양조위였다. 유명 배우들의 출연과 신비로운 연출로 사람들의 호기심을 사로 잡았다. 많은 사람들이 다각도로 해석하며 연출 의도를 분석해본 결과 '프시케와 에로스'의 신화 이야기를 담았을 것이라 추측하고 있다.
뮤직 비디오의 줄거리를 짧게 요약해보도록 하겠다.
사람들 눈 앞에 보이지 않은 채로, 다른 이들의 사랑을 이어주는 정호연(에로스)이 한 남자(프시케)에게 끌림을 느끼게 된다. 그 남자를 사랑하기 위해 자신의 직위를 내려 놓고 인간이 되어 그와 행복한 사랑을 하게 된다. 그를 만나러 가는 중, 양조위가 나타나 자신의 임무를 무시한 채 자신의 사랑을 이어가고 있는 정호연을 원래대로 되돌려 놓는다. 갑작스럽게 양조위를 만난 정호연은 당황하고, 인간이 되기 전 사람들의 눈에 보이지 않는 모습으로 돌아가게 된다. 정호연은 자신을 알아보지 못하는 남자를 보며 좌절한다. 다시 사람들의 사랑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기 위해 발걸음을 옮기다 무언가 깨달은 듯 다시 뒤돌아가며 스토리는 끝이 난다.
짧은 영상 속에서 가장 의미 있는 장면은 다음 세 가지로 뽑을 수 있다. 첫 번째, 사랑을 위해 자신의 직위를 내려놓는 것. 두 번째, 타인에 의해 자신이 원하는 사랑을 할 수 없게 된 것. 세 번째, 원래 자신의 삶으로 돌아가려다 생각의 변화가 생긴 듯 다른 선택을 하는 것. 아마도 뮤직 비디오 속의 정호연은 다시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에게 가는 선택을 했을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이유는 프시케와 에로스의 신화를 보면 알 수 있다.
Cool with you 뮤직 비디오 / Youtube 캡쳐
뮤직 비디오에 나오는 위 명화는 잠 자고 있는 프시케의 곁을 떠나는 에로스의 모습이다. 이 장면이 Cool with you 뮤직 비디오가 프시케와 에로스의 신화를 모티브했다는 것을 분명하게 나타낸다. 뮤직 비디오는 무엇을 전달하고자 프시케와 에로스 이야기를 담았을까? 그렇다면 프시케와 에로스의 이야기는 어떤 내용일까?
프시케와 에로스의 신화 이야기
❛ 아름다운 미모의 공주 프시케는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의 시기를 받는다. 아프로디테는 아들인 사랑의 신 에로스에게 가장 못생기고 천박한 남자와 사랑에 빠지게 하라고 명령한다. 하지만 프시케의 모습에 반해 자신의 화살에 손이 찔리게 된다. 프시케는 무시무시한 괴물을 남편으로 맞이하라는 신탁에 따라 한 궁전으로 가게 된다. 이 궁전에서 밤마다 남편이 나타나는데 겁먹은 것과 달리 남편은 프시케를 진심으로 사랑해준다. 남편은 바로 에로스였다. 자신의 모습을 들키지 않기 위해 밤에만 사랑하는 프시케를 만나러 온 것이다. 예상과 달리 잘지내는 프시케를 질투한 언니들이 프시케에게 밤에 남편의 얼굴을 확인하고, 칼로 죽이라고 한다. 언니들의 말에 흔들린 프시케는 잠든 남편의 얼굴을 확인한다. 자신의 남편이 에로스라는 것을 확인한 프시케는 남편을 의심한 것을 후회하지만 에로스는 프시케에게 크게 실망하며 떠난다. 프시케는 다시 에로스에게 가기 위해 아프로디테에게 간청하고, 아프로디테는 인간이면 할 수 없을 3가지의 일을 시킨다. 에로스가 보낸 조력자의 도움을 받아 2가지 일을 무사히 마치지만 마지막 관문에서 경고를 무시하고 판도라의 상자를 열어 끝없는 잠에 빠진다. 그동안 자신을 위해 어려운 일들을 해낸 프시케에게 감동 받은 에로스가 프시케를 잠에서 깨어나게 돕는다. 프시케가 깨어난 후 두 사람은 제우스에게 사랑을 허락 받고, 둘은 다시 사랑을 이루게 된다. ❜
Cool with you 뮤직 비디오 Youtube 캡쳐
인간을 사랑할 수 없지만 인간을 사랑하게 된 에로스, 얼굴을 모르는 누군가를 사랑하게 된 프시케, 에로스와 프시케의 사랑을 가로막는 누군가, 순탄치 않은 과정을 알지만 결국 자신을 위한 선택을 하는 에로스와 프시케. Cool with you 뮤직 비디오의 스토리와 신화에서 유사하게 담고 있는 내용이다.
그렇다면 뮤직 비디오와 신화의 공통 주제는 무엇일까? 필자는 '사랑이 이루어지지 않음'이라는 역경을 통한 정신적 성숙이 두 이야기의 핵심적인 내용이라고 생각했다. 여기서 '역경후 성장'이라는 개념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다.
역경후 성장의 의미
'역경후 성장'은 탄력성, 강인성과 유사한 개념이다. 여기서 탄력성은 삶에서 고난을 겪은 후에도 삶을 지속하고자 하고, 목적적인 삶을 영위해 나가는 능력을 말한다. 강인성은 삶에서 일어나는 사건에 대해 개입하고, 통제하며 도전하는 경향성을 의미한다. 위의 두 이야기에 나타난 역경후 성장의 특징은 다음 두 가지가 있다.
1. 자기와 세상에 대한 긍적적인 지각의 변화 2. 삶의 철학에서의 변화 |
역경을 겪은 후 정호연과 프시케, 에로스는 자신의 역할, 위치를 벗어날 수 없는 자신의 취약성을 발견했다. 동시에 한계를 겪으며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이며, 원하는 것을 이루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깨닫게 되었다. 현실적인 지각을 할 수 있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은 첫 번째 역경후 성장의 특징을 적용한 내용이다. 또한, 역경을 통해서 어떻게 살아야 자신이 행복할 수 있고, 자신이 원하는 삶의 우선순위가 무엇인지 인생관을 정립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삶의 철학에서의 변화를 나타낸다.
따라서, 순탄치 않았던 사랑을 통해 정호연과 프시케, 에로스 모두 내면적으로 성장하며 더욱 성숙한 자신을 모습을 찾았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성장의 개념은 단순히 이전의 심리적 기능 수준, 삶의 자각 수준을 넘어서는 진정한 변화를 말한다. 성장에 대한 결과로 신화에서는 역경을 이겨내고 다시 사랑을 이루었고, 뮤직 비디오에서는 이전과 다른 결심을 하는 듯한 정호연의 모습을 통해 이전과 다른 변화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Pixabay
Cool with you 뮤직 비디오와 신화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
삶에서 항상 고난과 역경은 피할 수 없는 것이라 생각한다. 사랑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역경의 시간이 고통스러울지라도 우리의 삶과 가치관이 더 구체적으로 변화하고, 우리를 내면적으로 더욱 단단하게 만들어주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ool with you와 신화는 우리에게 '정신(프시케)'과'사랑(에로스)'은 과정은 비록 힘들지라도 자신이 원하는 선택을 해 어려움과 부딪히고 나면 결국은 성장을 이루어낸다는 것을 말해주려는 것이 아닐까?
지난 기사
영어로 말할 때마다 머리가 하얘지는 나... 왜 그럴까
출처
김상준.(2016).심리학으로 읽는 그리스 신화.서울:보아스
임선영.(2013).역경후 성장에 이르는 의미재구성 과정: 관계상실을 중심으로(심리학박사학위논문).서울대학교 대학권,서울.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sjwjiina@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