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서진원 ]


pixabay 픽사베이

학창 시절을 동안 한번쯤은 이런 생각을 해보았을 것이다. ‘공부해야 되는건 아는데, 아… 하기 싫다’. 필자도 정말 많이 생각했던 내용이다. 시험 기간이면 특히 이런 생각이 들었었다. 고등학생일 때는 입시가 끝나면 모든 학업 스트레스는 사라지는 줄 알았다. 하지만 대학생이 된 지금까지도 시험 기간이면 ‘아… 공부하기 싫다’라는 생각을 하며 다리는 도서관을 향하고 있다. 학생들 모두 공부를 해야 한다는 사실은 알고 있다. 하지만 그것과는 별개로 공부를 하고 싶다는 마음이 들어서 공부를 한 적은 드문 것 같다. 그렇다면 왜 공부를 하는 것일까? 필자는 시험 기간에 공부가 너무 하기 싫어도 공부를 했던 이유는 좋은 성적을 받아 내가 하고 싶은 직업을 갖기 위해, 또는 성적 장학금을 받고 싶기 때문이었던 것 같다. 필자는 외적인 요소에 의한, 즉, ‘외재적 동기’를 갖고 공부했다.




외재적 동기와 내재적 동기!?


무언가를 행동으로 옮기기 위해서는 ‘동기’가 필요하다. 동기는 ‘외재적 동기’와 ‘내재적 동기’로 나뉜다. 내재적 동기는 욕구, 흥미, 호기심 등 내재적 요인에 의해 유발된다. 외재적 동기는 외부 요인으로 의해 유발된다. 예를 들어 금전적 보상, 사회적 지위, 칭찬 등이 있다.


내재적 동기는 스스로 활동하는 것 자체가 만족감을 준다. 예를 들어 책을 읽고 싶다는 욕구가 생겨 책을 읽으면 책을 읽고 있는 자체만으로 욕구가 충족된다. 데씨의 자기결정이론에 따르면 자신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특정 행동을 스스로 선택하여 심리적인 안정감을 얻는 것이다.


외재적 동기는 내재적 요인과 다르게 결과 지향적인 태도를 추구하게 된다. 결과 지향적이게 되면서 생기는 부정적인 측면이 있다. 원하는 결과를 얻는 것이 초점이 되어 성장 욕구, 개인적인 흥미와 같은 내재적인 동기가 저하된다. 또한 창의적인 방법에 대한 접근보다 결과를 위한 접근을 더 추구하게되고, 편법과 같은 행동하게 된다. 단순 반복이나 단기적인 일을 해야할 때는 긍정적이나, 공부와 같은 장기적인 일을 해야할 때는 외재적 동기와 내재적 동기가 균형있게 필요하다.

 



나는 어떤 동기로 공부를 하는 것일까?


그렇다면 필자와 같은 대학생들은 주로 어떤 동기로 공부를 하는 것일까? 경북 지역에 위치한 대학에서 호텔관광경영학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 동기에 대한 연구가 있다. 234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조사 결과 동일시된 동기(내가 원하는 분야에 취업하기 위함)와 외적 동기(나중에 더 나은 직업을 얻기 위함)가 가장 높게 나왔다. 필자뿐만 아니라 많은 대학생이 공부하면서 새로운 것을 배우는 즐거움에 의한 내재적 동기보다 미래에 원하는 곳에 취업하기 위한 외재적 동기이 공부하는데 더 크게 작용하고 있다.



pixabay 픽사베이


외재적 동기만 있는 나, 어떻게 하면 좋을까?


미래에 기회를 얻고, 원하는 곳에 취업하기 위해서 공부를 하는 것은 아주 중요한 동기다. 성취하려고 하는 뚜렷한 목표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외재적인 동기로만 임한다면 노력하는 과정에서 좋지 못한 성과를 얻었을 때 쉽게 지칠 수 있다. 따라서 외재적 동기로만 공부하는 것이 현재 많은 대학생이 겪고 있는 문제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필자와 같은 고민을 하고 있는 대학생들에게 필요한 것은 ‘내재적 동기 향상시키기’다. ‘피할 수 없다면 즐겨라!’. 내가 원하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 하기 싫어도 꼭 해야 한다면, 최종 목표 밑에 또 다른 작은 목표를 만들어 스스로에게 성취감, 만족감, 흥미를 줄 수 있도록 해보자. 작은 목표들을 이루어내며 작은 즐거움을 만들고, 이것이 쌓이고 쌓이면 내가 원하던 최종 목표와 꿈을 이루게 될 것이다.






지난 기사


나의 감정을 조종하는 비합리적 신념

영어로 말할 때마다 머리가 하얘지는 나... 왜 그럴까

프시케와 에로스', 아슬아슬한 그들의 사랑 이야기






출처

박준성.(2021).내 생애 첫 심리학.서울.원앤원콘텐츠그룹

심재명.(2016).자기결정이론에 근거한 대학생의 학습동기와 여가동기 : 동기프로파일과 동기의 영향.관광연구논총.통권 46호,p51-82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7310
  • 기사등록 2023-10-24 09:42:3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