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우수연 ]


출처: Pixabay

 

우리는 삶을 살아가면서 많은 것을 보고, 다양한 감정을 느끼면서 살아간다. 그러한 행위로 인하여 우리에게 느껴지는 것들은 다양하게 존재한다. 아마 당신도 오늘 다양한 행위를 한 하루를 보냈을 것이다. 예시로 점심시간 때 식사 후 나른함을 달래 줄 달콤한 디저트를 먹고 난 후 느껴진 기쁜 감정, 슬픈 장르의 영화를 감상하면서 슬픈 감정이 들고 그로 인해서 눈물이 흐르는 경험, 오늘 할당량의 일, 공부를 잘 마무리하여서 만족스러운 감정이 드는 경험 등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행위들이 어떠한 원리로 인하여 나에게 의미 있는 존재로 다가올 수 있는 것일까? 바로 의식 덕분이다. 그렇다면 심리학적인 관점에서 의식을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자.

 



‘의식’을 파헤쳐 보자!


출처: Pixabay

 

의식이란 세상과 마음에 대한 사람의 주관적 경험을 뜻한다. 또한 역사적이나 사회적으로 형성되는 사물이나 일에 대한 개인적이고, 집단적인 감정 또는 견해와 사상을 의미한다. 의식의 주관적 경험이라는 특징 덕분에 의식을 연구하는 학문 역시 존재한다. 바로 현상학이다. 현상학이란 의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사물이 어떻게 보이는가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는 학문을 뜻한다.  


그뿐만 아니라 의식은 꽤 다양한 분야에 걸쳐있다. 우리가 다른 사람의 마음을 자각할 수 있는 것은 의식으로 얻어진 우리의 경험 능력과 기능 능력이 작동해서이다. 경험 능력이란 통증과 즐거움, 의식, 분노 또는 두려움을 느낄 수 있는 능력을 뜻하며 기능 능력은 계획하고 사고하며 기억, 자기통제를 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 


덧대어 현대적인 관점으로 의식을 바라보았을 때, 마음과 뇌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주장이 존재한다. 즉 마음은 뇌가 행하는 것이며 뇌 활동이 의식적 마음보다 앞서 일어난다고 제안하는 것이다. 정신적인 사건들이 뇌에서 일어나는 사건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의식과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의식’의 속성과 의식 수준의 단계


출처: Pixabay그렇다면 의식의 기본적인 속성은 어떤 것일까? 의식은 크게 네 가지의 기본적 속성으로 나누어진다. 의도, 통합, 선택, 일시적이라는 속성이다.  


첫 번째로 의도란 한 대상으로 향하는 속성을 뜻하며 의식은 항상 무엇에 관한 것을 뜻한다.

두 번째로 통합이란 분리에 대한 저항을 뜻하며 신체의 여러 감각기관을 하나의 일관성 있는 전체로 통합하는 능력을 뜻한다.

세 번째로 선택은 일부 대상을 의식 속에 포함하고, 일부 대상은 포함하지 않는 능력을 뜻한다. 선택의 대중적인 예시로 칵테일파티 현상이 있다.

네 번째로 일시적 속성은 변하는 것이며 한순간에 일정량의 정보만 입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우리의 초점이 항상 변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의식 수준에 대하여 알아보자. 의식 수준이란 최소한의 의식, 충만한 의식, 자의식이 있다. 


첫 번째로 최소한의 의식이란 마음이 감각을 입력하고, 행동을 출력할 수 있을 때 발생하는 낮은 수준의 감각 인식 및 반응을 뜻한다. 이에 관련된 예시로 잠을 자는 동안 신체적인 자극에 대한 반응하는 들 수 있다.

두 번째로 충만한 의식이다. 이는 우리가 우리의 정신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 가능하고, 타인에게 제대로 전달할 수 있는 의식을 뜻한다. 즉, 무엇에 대해 생각하면서 내가 그것에 대하여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자각하는 것이다.

세 번째로 자의식이란 개인의 주의가 자신에게 향하는 경우를 뜻한다. 사람의 관심 대상으로서 자신에게 쏠리는 의식 수준을 뜻하는데 이와 관련된 유명한 실험으로 미국의 생물 심리학자인 고든 갤럽의 실험이 존재한다. 한 침팬지가 거울 속의 자아를 인식한 후, 눈썹에 묻은 붉은 염료를 닦으려 하였는데 이에 따라서 몇몇 동물들이 거울 속에서 자신을 인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던 실험이었다. 

 

우리가 알아본 의식을 통하여 의식이란, 상호 주관적으로 이해되고 반성된 자기 관계라는 의미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의미를 기반으로 하여서 자아의식의 이념은 또한 사회적 진리 자각, 합리적 실천 사이에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의식은 우리가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을 알려주는 중대한 역할임을 다시 한번 깨달을 수 있게 된다.






지난 기사


공감, 왜 중요하고 어떻게 하면 올바르게 공감할 수 있을까?

사소한 문제들로 금이 간 유리창 vs 문제없이 단단한 유리창, 어느 것이 더 안전할까?

어라? 지금 나는 이 기억 어떻게 나는 거지?

상실, 더 단단한 내가 되어서 대처하는 법

현대사회에서 우리를 병들게 하는 감정노동,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출처

박해용. 2004. 반성된 자아의식의 사회성. 사회와 철학. 사회와 철학 연구회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7489
  • 기사등록 2023-11-20 14:08:1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