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이정연 ]


이대장. [ iphone ] 픽사 애니메이션 배경화면 모음집 | 토이스토리, 업(up), 니모를 찾아서, 몬스터 주식회사, 인사이드 아웃. 2021.01.07타인의 기분을 잘 알고 행동해, ‘나보다 내 기분을 더 잘 아는 것 같다.’, ‘센스있다.’ 등의 말을 들어봤거나 기분을 잘 모르고 행동해 상대의 기분을 나쁘게 만든 적이 있는가?

 

인간은 사회적 동물로,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관계를 통해 완성되어가는 존재이다. 대인관계가 원만하다면, 사회적 지지를 얻을 수 있고 갈등이 생긴다면, 심리·사회적 부적응과 심리 장애가 발생하기도 한다.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상대방의 표정을 보고 그 사람의 기분을 알아차리는 것은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고 갈등을 피하거나 위로하는 등 적합한 행동을 취할 수 있게 만든다.

 

따라서, 오늘은 원만한 대인관계를 위해 감정에 따른 표정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놀라움


놀라움을 나타내는 표정의 특징은 이마, 눈썹, 눈, 턱에 생긴다. (1) 이마에 긴 주름들, (2) 곡선의 형태를 띠며 높이 올라간 눈썹, (3) 커진 눈, (4) 턱이 내려가며 편안하게 열린 입. 해당 4가지가 놀란 표정의 주요 특징이다. 

 



두려움



두려움을 나타내는 표정의 특징은 이마, 눈썹, 미간, 눈꺼풀, 입에 나타난다. (1) 이마 중앙에 몰린 주름, (2) 위로 올라가며 서로 모인 눈썹, (3) 미간에 생긴 세로 주름, (4) 위 눈꺼풀이 올라가며 보이는 동공 위 흰자, (5) 동공 쪽으로 올라가 붙은 아래 눈꺼풀, (6) 양옆으로 당겨지듯이 벌어진 입. 이 6가지가 두려운 표정의 주요 특징이다.

 



혐오감



혐오감을 나타내는 표정의 특징은 눈썹, 눈꺼풀, 눈, 코, 광대, 입술에 나타난다. (1) 살짝 아래로 내려간 눈썹, (2) 위로 올라간 아래 눈꺼풀, (3) 아래 눈꺼풀 밑 주름, (4) 위 눈꺼풀이 내려오며 작아진 눈, (5) 코에 생긴 주름, (6) 위로 올라간 광대, (7) 위로 올라간 윗입술, (8) 앞으로 튀어나온 아랫입술. 해당 8가지가 혐오 표정의 주요 특징이다.



경멸을 나타내는 표정은 혐오감과 비슷하나, 입 모양과 턱에서 차이가 있다. 입 모양은 ‘힘을 주어 당긴 한쪽 입술 또는 양 입술’의 형태이며, 턱은 위로 올라가야 한다.


 


분노



분노를 나타내는 표정의 특징은 눈썹, 미간, 눈꺼풀, 눈, 입에 생긴다. (1) 내려오면서 서로 모이는 눈썹, (2) 미간에 생긴 세로 주름, (3) 눈썹이 내려오며 같이 내려간 위 눈꺼풀, (4) 동공 쪽으로 올라붙은 아래 눈꺼풀, (5) 튀어나올 듯 노려보는 눈. 이 5가지가 분노 표정의 주요 특징이다.

 

입은 상황에 따라, 두 가지의 특징을 보인다. 신체적인 폭력을 가하려는 경우나 화를 참는 경우에는 ‘힘주어 꽉 다문 입’이 나타나며, 말로 화를 표현하려는 경우에는 ‘네모 모양의 입’이 나타난다.

 



행복



행복한 표정의 특징은 눈, 눈꺼풀, 광대, 코 주변, 입, 턱에 나타난다. (1) 빛나는 눈, (2) 눈 옆에 생기는 까마귀 발톱 모양의 주름, (3) 작아진 눈 크기, (4) 눈 밑 주름, (5) 동공 쪽으로 편안히 올라간 아래 눈꺼풀, (6) 올라간 광대, (7) 팔자주름, (8) 뒤로 당겨지며 위로 올라간 입꼬리, (9) 둥그렇게 커지는 턱. 이 9가지가 행복한 표정의 주요 특징이다.

 

행복한 정도에 따라, 입이 벌어져 이가 보이기도 하며 팔자주름이 짙어지기도 한다.

 



슬픔



슬픈 표정의 특징은 눈썹, 눈꺼풀, 입꼬리에서 생긴다. (1) 위로 올라간 눈썹 앞쪽, (2) 전체적으로 내려오며 서로 모인 눈썹, (3) 눈썹이 내려오며 같이 내려온 위 눈꺼풀, (4) 동공 쪽으로 올라붙은 아래 눈꺼풀, (5) 힘주지 않고 자연스레 내려간 입꼬리. 해당 5가지가 슬픈 표정의 주요 특징이다.

 



정서에 따라 표정의 특징은 다르게 나타나며, 정서의 강도에 따라 특징이 전부 동시에 나타나기도 몇 개만 같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나, ‘이야기를 듣고 있다고 알리기 위해 눈썹을 올렸다 내리는 표정’과 같이 표정의 특징들은 서로 섞이기도 하며 다른 감정이나 의도를 나타낸다.

 

그렇기에, 적어도 3개 이상의 같은 정서 표정 특징이 있어야만 한 정서로 정의 내릴 수 있으며, 행동이나 목소리, 상황 등 다른 요소를 추가로 고려해야 한다. 이런 정서에 따른 표정의 특징을 잘 파악해, 더욱 건강한 대인관계를 맺기를 바란다.

 





지난 기사


어머, 이건 인스타 각이잖아!

이별을 함께하는 사회

알바 그만둔다고 엄마가 말해주면 안 돼?

이게 아니라고? 대국민 몰카인가

엄마, 동생이 자꾸 나 따라 해

친구가 하품하면 왜 나도 하품이 날까?






<출처>

김경진. "애착유형과 얼굴표정 정서 지각 및 대인관계 만족도간의 관계." 국내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3. 강원도

Ekman, Paul·Friesen, Wallace V, Unmasking the Face: A Guide to Recognizing Emotions from Facial Expressions, Malor Books, 2008.05.07.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7597
  • 기사등록 2023-11-17 18:49:5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