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To. 경계의 모호함 속에서 자신과 싸우는 이들에게. - 경계선 인격장애(성격장애)에 관하여
  • 기사등록 2023-12-06 18:31:59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최서영 ]


버스를 타고 집에 가던 중 옆자리에 앉은 어떤 분이 계속 눈에 띄었다. 눈빛은 굉장히 불안하고 초조해 보이며 어딘가 불편해 보였다. 유심히 살펴보니, “아냐... 내가 틀렸어.”, “무슨 소리야?! 내가 맞아.”라며 혼자 중얼거리기도 했다. 마치 1인 2역을 맡은 배우처럼 자신 이외의 또 다른 자신과 혼잣말을 하는 그를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집에 돌아오는 길, 옆자리에 앉았던 버스 승객의 모습이 떠나질 않았다. 마음의 병을 앓고 있는 것일까? 과연 그는 어떤 증상을 가진 걸까? 

 

출처 : stocksnap 

 

한 가지 의심 가는 증상이 있었다. 바로 ‘경계선 인격장애’. 

책으로만 보았을 때 옆자리 버스 승객분의 불안에 떨며 혼잣말을 하는 행위가 경계선 인격장애의 증상과 유사하였다. 그러나 정확히 ‘경계선’이라는 것에 궁금증을 갖기 시작하였다. 자신에 대한 정체감이 부족하기 때문에 경계선 장애라고 불리는 것인가. 그 용어의 정확한 의미는 무엇인가에 대한 궁금증 말이다. 

 



 경계선 인격장애란 무엇인가? 


 경계선 인격 장애란 신경증과 정신병의 경계를 오가며 자신의 자아를 주체할 수 없는 사람을 지칭하는 말이다. 이때 ‘신경증과 정신병의 경계’란 정확히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일까?

 

두 양자를 구분짓는 기준점은 바로 ‘현실감의 유무’이다. 정신병이란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계속해서 믿거나 실체 없는 것에 대하여 계속해서 떠올리는 것을 의미한다. 때문에 현실에 대한 판단력과 지각력의 결여를 전제로 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환각이나 망상을 들 수 있다. 추가적으로, 최근 미디어나 매체에서는 ‘조현병’이라는 증상에 대해서도 주목하고 있다. 조현병의 대표적인 증상으로 환각이나 망상 증상이 드러난다. 

 

그에 비해 신경증이란 내면에서 요동치는 부정적인 감정(우울, 불안, 강박 등)들에 압도되지만, 내적 갈등의 내용들이 현실과 무관하지 않은 경우를 말한다. 공황장애의 경우, 대게 우울과 불안이라는 부정적 감정과 함께 동반되며 이때 현실에서 일어나는 상황임을 인지하고 있으나, 힘들어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러나 신경증과 정신병은 과거 정신질환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였던 용어이다. 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에 따르면, 오늘날의 정신질환을 구분할 때 신경증과 정신병을 구체적으로 유형화하지는 않는다고 한다. 

 

즉, 다시 말해 경계선 인격장애란 우울, 불안과 같은 신경증과 환각, 망상 등과 같은 정신병의 모호한 경계선 사이에서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증상을 뜻하는 용어이다. 

 

 


 나는 경계선 인격장애인가요?


  경계선 인격 장애를 가진 이들은 대게 인간관계에서 불편함을 느낄 뿐만 아니라 불안정한 애착형 유형의 경우 빈번하게 나타나는 증상이기에 타인에게 해를 가하는 질환이기도 하다. 성격적 결함을 담고 있는 질환이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증상을 이해하며 과연 나는 경계선 인격장애는 아닌지 체크해보길 바란다. 

 

1. 버려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

‘버려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은 경계선 인격장애가 발생하는 그 ‘주요 원인’을 파악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경계선 인격장애라는 증상은 기질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질환에 해당한다. 이때, 환경적 요인을 더욱 주의 깊게 볼 필요가 있다. 

 

경계선 인격장애와 관련된 한 논문에 따르면, 경계선 인격장애가 발현되는 사람들의 공통적인 특징으로 아동기 때의 만성적인 학대, 폭력적 경험, 부모에 대한 애착의 불안정성, 애착 관계의 결여 등을 들 수 있다. 즉, 아동기 때의 부정적 경험들이 이후 경계선 인격장애의 불을 키우는 주요 요인이 되는 것이다. 

 

특히, 불안정형 애착 관계를 형성한 사람들의 경우 부모와의 안정적인 애착 관계가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후 인간관계를 쌓는 데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홀로 고립되는 것에 대해 심리적 불편감, 우울, 불안과 같은 부정적 감정을 보다 더 느끼게 되고 결국 공황 상태에 빠지거나 심리적 민감성을 드러내게 된다. 

 

2. 분노 조절의 어려움

분노를 조절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는 앞서 설명한 ‘버려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에서 파생되는 비적응적인 방식의 감정 표출이다. 이들은 타인에게 매정하게 굴거나, 분노에 차서 언어적 혹은 신체적 폭력을 행사하거나, 빈정대곤 한다. 또한, 분노를 표출한 이후 죄책감에 사로잡혀 자신을 비난하고 자책하는 형식으로 악순환이 반복되기도 한다. 

 

3. 충동성

아동기에 경계선 장애를 가진 이들의 충동적인 특징이 이후 성인기에 점화되어 심각한 자살 시도 혹은 자기파괴적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다. 주요 증상은 불안정한 정서, 대인관계의 어려움, 망상 및 해리 증상 등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사람들은 도박, 문란한 성생활, 폭식 등을 반복하기 일쑤이다. 

 

 


 경계선 성격 장애를 가진 이들에게


 한 연구에 따르면, 아동기 경계선 장애의 증상이 성인기 경계선 성격장애와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 연구에서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아동기에 발현되는 불안정한 정서, 충동성, 분노 조절 곤란 등을 겪는 이들의 경계선 장애 증상을 치료하는 데 초점을 둔다면, 성인기로 악화되는 것을 충분히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앞서 설명했듯 경계선 인격장애가 발현되는 주요 환경적 요인은 만성적인 학대 경험, 불안정한 애착 관계 형성 등이다.


물론 기질적으로 스트레스에 민감하거나 정서적 민감성이 높은 아이들의 경계선 장애 증상의 문제를 단기간에 해결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우리가 현재 행할 수 있는 것은 환경적인 요인이며, 그 중 가정환경의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다. 그러니 마음이 아픈 사람 그리고 그를 돌보는 보호자들은 더욱이 환경의 중요성을 인지해야할 필요가 있다. 

 





지난 기사


절망 속에서 피어난 꽃, 프리다 칼로

나는우울해질 때면 펜을 든다

"뭐 먹을래?"란 질문에 "너가 먹고 싶은거!"라고 답하는 이들에게

"너 잘 되라고 하는 소리야"

"삶이 무기력하고, 당장이라도 뛰어내리고 싶나요?"

감성 세포를 통제할 수 있는 101가지 방법

설탕의 노예들, 대한민국 건강 현 주소





 

참고문헌

https://m.blog.naver.com/ikent12/222231013316 밝은마음 상담치료, ‘경계선 인격장애(경계선 성격장애) 증상, 극복방법과 심리 상담 치료, 밝은 마음

https://m.blog.naver.com/cnmh1004/221286652134 국립춘천병원, ’[정신건강 바로알기] 정신증과 신경증‘ (2018, 5. 29. 10:40)


홍성화. (2004). 경계선 인격 장애자와 부모의 병리. 정서·행동장애연구, 20(4), 411-433.

전혜성. (2023). 아동기 경계선 장애의 가족기반 조기개입 모색 -경계선 장애 및 경계선 성격장애의 비교분석에 기반하여-. 가족과 가족치료, 31(2), 169-187.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7713
  • 기사등록 2023-12-06 18:31:5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