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장윤정 ]


‘역시 첫인상이 중요해’라는 말을 들어본 경험이 있는가? 만약 있다면, ‘너는 첫인상이랑 지금이랑 완전히 달라’라는 말을 들어본 경험 또한 있는가? 앞선 문장은 사람의 첫인상이 중요함을 뜻하는 문장이고 뒤 문장은 첫인상보다 관계를 지속해 나가며 형성한 인상이 더 중요함을 뜻하는 문장이다. 어떤 문장이 더 정답이라고 생각하는가? 필자는 두 문장이 적용될 수 있는 상황이 다르다고 생각하여 어느 한 문장만 정답이라고 말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초두효과란?


앞선 문장과 관련된 심리학적 효과를 ‘초두효과’라고 한다. 솔로몬 애쉬는 초두효과를 ‘처음 입력된 정보가 나중에 습득하는 정보보다 후에 강력한 영향을 준다’라고 정의하였다. 즉, 여러 정보가 제시될 시 가장 처음에 제시된 정보를 다른 정보보다 더 잘 기억함을 뜻하는 효과이다. 예를 들면, 어떠한 사람을 처음 보았을 때 가장 먼저 인식되는 그 사람의 외모, 분위기 등으로 상대에 대하여 첫인상을 형성하고 그 사람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는 것이다. 초두효과는 특히 면접 상황에서 많이 적용된다. ‘면접 결과는 처음 마주한 후 5초 안에 결정된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면접에서는 그 사람에 대하여 짧은 시간 안에 형성한 이미지가 이후의 결과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는 첫인상이 많은 영향을 준다고 해석할 수 있다. 

 


초두효과 관련 실험


초두효과와 관련하여 솔로몬 애쉬가 진행한 하나의 실험이 있다. 그는 처음 제시된 정보가 사람의 정보 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는 사람들을 A, B의 두 그룹을 나눈 후 각 그룹에 한 사람의 성격을 나열하고 그 사람에 대하여 어떤 인상을 형성하였는지 물어보는 순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A 그룹에는 성격을 나열할 때 ‘근면하고 똑똑하고 충동적이고 비판적이다’의 순으로 나열하였고, B 그룹에는 앞서 나열한 반대 순서로 성격을 나열하였다. 결과는 A 그룹의 사람들은 78%나 긍정적으로 인상을 형성하였지만, B 그룹의 사람들은 18% 만이 긍정적으로 인상을 형성하였다. 이 실험을 통해 사람들이 정보를 처리하는데 있어 가장 처음 제시되는 정보에 많은 주의를 기울임을 알 수 있다.

 


빈발효과란?


그렇다면, 첫인상과 현재 형성된 인상이 다름을 뜻하는 것과 관련된 효과는 무엇일까? 이는 빈발효과라고 한다. 빈발효과란, 어떠한 정보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그 정보에 뇌가 익숙해져 긍정적인 인상을 형성하는 것을 뜻한다. 사람 간의 관계로 적용해 보자면, 한 사람의 첫인상은 매우 좋지 않았지만, 관계를 이어 나가며 반복적으로 좋은 행동을 취한다면 그에 대한 인상이 긍정적으로 바뀐다는 것이다. 초두효과는 짧은 시간 동안 보는 인간관계에서 중요한 데 반해 빈발효과는 지속적인 관계를 이어 나가는 인간관계에서 중요하다. 

 

 

빈발효과 사례


필자는 실제로 빈발효과를 경험해 본 적이 있다. 팀 프로젝트에서 한 팀원을 알게 되었는데, 그 당시 함께 진행하던 팀 프로젝트에서 그 팀원은 본인이 맡은 역할을 대충 수행하였으며 회의도 개인 사정으로 몇 번이나 빠졌었다. 다 같이 열심히 해야 하는 팀 프로젝트의 특성상 그 사람의 노력 부족으로 팀에 조금의 영향이 갔었고, 이에 따라 그 사람에 대하여 안 좋은 인상을 형성할 수밖에 없었다. 다음 학기 다른 수업에서 그 사람과 또 한 번 팀 프로젝트를 같이 하게 되었는데, 이때 진행한 팀 프로젝트에서는 그 사람이 누구보다 열심히 참여하며 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많이 주었고 덕분에 좋은 성적을 받을 수 있었다. 그 사람의 행동에 변화가 생긴 계기는 모르겠지만 이후의 행동 덕분에 그 사람에 대하여 필자가 갖고 있던 인식에 변화가 생겼다.

 


사람들은 첫인상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하며 좋은 첫인상 형성에 큰 노력을 가한다. 하지만, 빈발효과를 봄으로써 알 수 있듯이 첫인상을 좋게 형성하더라도 이후에 행동과 태도를 좋지 않게 한다면 형성된 인상이 안 좋은 방향으로 수정될 수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무조건 첫인상을 좋게 형성하는 것에만 신경 쓰기보다는 내가 상대의 관계를 어떻게 형성해 나갈 것인가를 우선으로 고려해 보는 것은 어떨까?






지난 기사


휴식도 제대로 즐기지 못하는 당신! 슈드비 콤플렉스 일지도?

부정적인 정보가 눈에 더 잘 들어오는 걸 어떡해!

불안의 또 하나의 원인, 행동 억제 체계

큰 병일까 두려움에 떠는 사람들, 질병 불안 장애

MZ 세대에서 퇴사가 유행이라고??

설득이 뭐길래 거절을 못 해?

마트엔 왜 990원 단위로 판매되는 물건이 많을까?

달님, 더 간절하게 소원 빌면 더 잘 들어주실거죠?






참고문헌

권형일,and 최미화. "스포츠 스폰서십에서 노출순서와 노출의 시간적 간격에 따른 이미지 전이 효과: 초두효과와 최신효과의 검증." 체육과학연구 30.2 (2019): 318-331. 

심리학에서 말하는 첫인상 - 초두효과와 최신효과 그리고 빈발효과. YouTube. 2019. 24k 

첫인상, 정말 중요한가? 설득의 심리학으로 알아보는 서열위치효과와 초두효과, 최근효과. YouTube. 2023. 일상에 가치를 더하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7786
  • 기사등록 2023-12-20 19:46:1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