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서영
[The Psychology Times=최서영 ]
"너 자신을 알라.", "내가 잘하는 게 무엇인지 알아야 성공한다.", "저 사람은 자기가 무엇을 잘하는 것을 충분히 아는 사람이야." 라는 말에서는 곧 자기 자신을 잘 알고, 자신의 강점이 무엇인지를 잘 아는 것이 가장 중요한 덕목이라는 이야기하고 있다. 최근까지도 심리학에서 가장 큰 인기를 얻고 있는 학문인 '긍정심리학'의 아버지, 셀리그만에 의하면 강점을 가지면 가질수록 자신의 강점을 찾아내는 과정을 통해 행복을 실현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강점인식이란 내면뿐만 아니라 자신을 발달해나가는 과정에서도 중요한 요인 중 하나라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강점이란 무엇이며, 강점인식이란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를 담고 있을까?
강점인식이란?
강점인식이란 표현 그대로 자신의 강점을 인지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물론 누구나 강점을 갖길 원하며, 사회 속에서 자신을 발달하기 위하여 강점을 발달해야 한다는 것을 모르는 이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 사회는 지나친 경쟁 과업 속에서 여러 과제를 수행하면서 보다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 때문에 자아를 확립하고 이를 토대로 진로를 결정하고, 발달하여 더 나은 세상으로 나아가야 하는 시기인 대학생 시기에 지나친 스트레스로 인하여 자신의 강점을 파악하지 못하고 더 나아가 진로를 결정하고 준비하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 때문에 '강점 인식'이라는 것이 더욱이 중요한 실정이다.
한 논문에 따르면, 일주일 간의 실험을 통해 약점인식집단과 약점보완집단에 비해 강점인식집단과 강점활용집단이 삶의 만족도, 행복, 긍정 정서에 더 긍정적 영향을 보였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또한, 다른 연구에 의하면 강점 인식이 대학생활적응하고, 행복감을 느끼고, 진로를 결정하고 이를 토대로 진로준비행동을 이행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그렇다면 강점인식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노력이 필요할까?
강점인식과 사회적 지지의 관계
자신의 욕구, 바람, 잘하는 것, 좋아하는 것 등 나로부터 파생되는 강점을 탐구하고 연구하기 위해서는 환경 또한 중요한 일이다. 특히, 사회적 지지 내에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은 자신의 강점을 인식하고 활용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사회적 지지는 부정적인 스트레스 혹은 정서를 감소시키며, 긍정정서나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자원을 강화한다는 연구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사회적 지지는 자기수용(자기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태도)과 자아존중감과 같은 개인의 자아 인식을 강화하는 데 주요 요인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강점인식은 자신에서 비롯된 인지적 평가를 기반으로 하며,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 이때, 사회적 지지는 가족, 친구, 동료 등 대인 관계 속 여러 사람들로 하여금 느끼게 되는 심리적 자원으로 개인에 대한 긍정적 정보의 원천이라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사회적 지지가 기반이 된다면 강점 인식을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후 긍정적 정서나 회복탄력성과 같은 긍정적 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앞서 말했듯, 경쟁과 성공, 결과를 중시하는 현대 사회에서 자신의 강점을 인식하고 이를 발전하는 게 더욱이 어려워지게 되었다. 또한, 개인화 시대가 점차 지속화하다보니 서로 간의 연대로 발전하는 문화가 더디어지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그러나 앞선 연구에서 보았듯, 자신의 강점을 탐구하고 인식하는 것뿐 아니라 서로 간의 연대를 통해 사회적 지지가 앞으로 더 나은 미래를 나아가는 발판이 되어줄 것이라 생각한다.
지난 기사
"뭐 먹을래?"란 질문에 "너가 먹고 싶은거!"라고 답하는 이들에게
참고문헌
조남근,권정희,and 정미예. "강점인식이 심리적 안녕감과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강점활용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3.3 (2016): 1-27.
이은경(Lee Eunkyeong),and 김유진(Kim Yujin).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강점인식의 관계: 자기수용의 매개 효과와 내적 귀인성향의 조절 효과." 한국청소년연구 32.3 (2021): 179-207.
조영아,and 이재은. "대학생의 진로적응력과 자기수용, 강점인식, 강점활용의 구조적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0.2 (2018): 127-149.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tarasmile@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