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허정윤 ]


나는 나와 비슷한 사람에게 매력을 느낄까 아니면 나와는 다른 성향을 가진 사람에게 매력을 느낄까?


비슷한 사람과는 서로 공감할 수 있는 부분들이 유사할 것이므로 비슷한 사람에게 매력을 느낀다는 설명, 나와 다른 사람을 보면 내가 가지지 못한 부분에 매력을 느낄 것이라는 설명 둘 다 모두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비슷한 사람에게 매력을 느끼는 우리




심리학적으로 수행된 많은 연구는 우리는 우리가 이성 혹은 동성과의 관계에서 나와 비슷한 사람에게 주로 매력을 느낀다고 한다. Newcomb와 Carli가 진행한 대학 룸메이트들 사이의 가까운 정도에서는 지리적 가까움과 친숙함 등을 제치고 유사성이 가장 친한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척도로 나타났다. (Carli, 1990)


심지어 지리적으로 멀리 위치해도 유사한 성향을 가진 학생들이라면 더 잘 친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유사성이 높을수록, 매력을 느끼는 정도도 높아지는 유사-매력 효과도 관찰되었다. (Byrne&Nelson, 1965)


놀랍게도 유사성은 단순히 성향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었다. Walster의 연구에 따르면 개인은 자신과 사회적 요구가 일치하는 사람들을 찾는 경향이 있으며, 그의 이후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데이트 파트너 상대로 자신과 신체적인 매력도가 비슷한 사람을 고른다는 것이 확인되기도 했다. (Walster et al, 1996) 실험을 통해 실제 커플들이 무작위로 짝지어진 사람들보다 신체적 매력도의 유사성이 훨씬 높게 나타난다는 사실 역시 확인된다. 



그렇다면 동성 간의 관계에도 친밀함과 신체적인 매력도가 비례해 나타날까?

놀랍게도 이 비례 관계는 남성들의 관계에서만 성립한다. (Feingold, 1988)

 

이성과의 관계 형성에서 우리는 우리와 비슷한 사람을 고르기도 하지만 연애의 과정에서 상대방과 비슷해지기도 한다. (Gruber-Baladi et al, 1995) 

연인과 오랜 시간을 보내고 상대방의 표정 등을 따라 하기도 하면서 같은 자리에 주름이 생기는 등으로 둘은 외적으로 더욱 비슷해지기도 한다는 설명이 가능할 것이다.



우리가 비슷한 사람을 선택하게 되는 이유



그렇다면 우리는 왜 우리와 유사한 사람을 선택하게 되는 것일까?

첫 번째 이유로는 거절당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있을 수 있다. 우리는 우리와 비슷한 사람들을 더 파악하기 쉽다고 생각하고, 우리와 다르면 어떤 생각을 하는지 모르겠다고 느끼기도 한다. 나와 다른 사람은 나를 거절할 것이라고 단정 짓는 무의식적인 생각이 우리를 무의식적으로 비슷한 사람에게 매력을 느끼게 하는 이유가 될 수 있다. 


환경적인 이유도 있다. 비슷한 흥미나 생각, 취미를 가진 사람들은 같은 장소에 모일 확률이 더 높고, 마주쳐 인연이 이어질 확률도 더 높기 마련이다. 

비슷하다는 것은 소통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야기하게 되고, 자신과 유사하므로 자연스럽게 상대의 믿음과 태도를 존중하게 된다. (Festinger, 1957)

추가적으로, 우리는 우리와 비슷한 태도를 가진 사람들이 우리를 좋아할 것이라는 기대를 하기도 한다. 



유사성 가설과 반대되는 보완 가설




그렇지만 우리는 우리와 다른 사람들에게도 종종 매력을 느끼기도 하는 것이 사실이다.

Winch는 유사성 가설과는 달리 보완 가설을 제시하기도 했는데 (Winch, 1958), 이는 반대되는 성향을 가진 사람들에 매력을 느낀다는 이론을 지지한다. 여러 연구는 보완적인 성향을 가지는 사람들에게 매력을 느낀다는 것보다 비슷한 사람에게 매력을 느낀다는 가설을 더욱 지지하기는 하지만, Markey는 ‘지배적인 성향’에서는 다른 정도를 가진 사람들끼리 연인이 된다는 것을 증명해 냈다. (Markey, 2007) 

즉, 지배적인 성향을 가진 사람은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순종적인 성향을 가진 사람과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선호한다는 것이다. 






지난 기사


습관의 힘?

당신은 MBTI 맹신론자인가?

망설임 없이 떠나라

HAKUNA MATATA-아프리카 여행을 마치고.

짐진 자와 내려놓은 자

개인 상담이 두려우신가요?

평생 다이어트를 하는 당신에게

평생 다이어트를 하는 당신에게-두 번째 이야기

감정을 허용하기-당신은 로봇이 아닙니다

살아있음에 감사하기

꾸준히 나아지자






-Newcomb, T. M. (1963). Stabilities underlying changes in interpersonal attraction. The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66(4), 376–386

-Carli, L. L. (1990). Gender, language, and influ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5), 941–951.

-Byrne, D., & Nelson, D. (1965). Attraction as a linear function of proportion of positive reinforceme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6), 659–663.

-Feingold, A. (1988). Matching for attractiveness in romantic partners and same-sex friends: A meta-analysis and theoretical critique. Psychological Bulletin, 104(2), 226–235.

-Festinger, L. (1957). A theory of cognitive dissonance. Stanford University Press.

-Markey, P. M., & Markey, C. N. (2007). Romantic ideals, romantic obtainment, and relationship experiences: The complementarity of interpersonal traits among romantic partner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24(4), 517–533.

TAG
1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8003
  • 기사등록 2024-01-31 00:07:1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