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혜지
[한국심리학신문=안혜지 ]
우리 모두는 치열한 학창시철을 거쳐 왔다. 특히 고등학생 때에는 중간고사 전날이면 밤을 새우기도 하고, 중요한 수행평가가 있으면 몇 번이고 반복해 내용을 외우기도 했으며, 자습시간에는 장장 4시간 동안 꼼짝없이 공부하며 앉아있기도 했다. 그런데 그렇게 혹독한 훈련을 거쳤음에도 불구하고 대학생이 된 지금 우리는 집중력이 채 1시간도, 아니 10분도 가지 못한다. 물론 모두가 그렇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대학생이 된 이후에도 여전히 좋은 집중력을 갖고 열심히 공부하는 경우도 다수 존재한다.
성인 ADHD
하지만 그런 경우를 제외하고, 많은 대학생들이 실제로 이러한 집중력 문제를 호소하고 있다. 매스컴에서 최근 ‘성인 ADHD’라는 단어를 흔히 접할 수 있는 것도 그러한 이유다. 성인 ADHD란 성인에게서 나타나는 주의력 결핍 과다행동장애의 신경생물학적 질병으로, 대표적 증상으로는 집중 유지의 어려움, 흥분과 보상이 있는 일에 대한 과도한 집중, 비조직화와 건망증 등이 존재한다. 이러한 성인 ADHD는 국내 성인의 2.4%에게서 나타난다고 한다. 주목할 만한 점은, 특히 20대와 하위 50% 소득 수준에서 유병률이 높았다는 것이었다.
집중력 문제의 요인; 고카페인과 핸드폰 중독
이러한 20대 대학생들의 집중력 문제에는 물론 다양한 요인들이 존재하겠지만, 그 중 카페인과 핸드폰 행동 중독이 두드러지는 요인으로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가 존재했다. 최근 메가커피, 컴포즈커피 등 저가커피 브랜드가 다수 등장하며 더더욱 커피 소비량이 증가했다. 또 그뿐만 아니라 몬스터, 핫식스와 같이 고카페인을 함유하고 있는 에너지 음료도 각성 용도로 남용되고 있기 때문에, 카페인 독성으로 인한 부작용이 청년 사이에서 증가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부작용에는 다양한 것들이 있지만, 가장 큰 문제는 중독이다. 고카페인 에너지 음료의 중독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와도 연결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내연구에서 ADHD를 가진 행동장애군이 대조군보다 카페인 섭취량이 더 높았다고 한다.
또한 이와 같은 카페인 중독에 노출되게 되면 쉽게 다른 중독에 이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 중독과 같은 것이다. 특히나 요즘은 유튜브 숏폼, 인스타그램 릴스 등의 유행으로 짧은 영상을 여러 개 보는 것에 익숙해진 상황이다. 그 때문에 ‘콘텐츠 홍수’에 중독되는 것이 더 쉬워졌는데, 고카페인 음료 중독과의 연관성 때문에 고카페인 음료를 즐겨 마시면서 스마트폰도 자주 하는 사람이라면 복합 중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이는 곧 우울감, ADHD, 충동성 등의 성향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성인 ADHD 증상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가지고 있었던 ADHD 증세가 심해지게 될 경우 일상에서까지도 불편을 초래하게 될 수 있다. 사소하거나 간단한 일도 빠르게 처리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기 때문에 업무나 학업에서 성취가 저하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도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읽는 것을 어려워하는 경우가 있고, 주변에서도 이에 관해 계속해서 지적한다면 자신감이 줄어들며 우울이나 불안을 호소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앞서 언급했든 ADHD는 다른 정신과 질환도 동반하기 때문에 더더욱 가벼이 볼수 없다. 대표적인 동반 질환으로는 불안장애, 적대적 반항장애, 우울장애, 틱장애 등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복합적 질환이 존재할 경우에는 증상의 심각도에 따라 치료를 진행하게 된다.
성인 ADHD 실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실제로 ADHD 진단을 받은 성인 환자가 2018년 대비 2022년에 5배 가량 증가하였다고 한다. 또한 성인 ADHD 환자는 다른 정신질환을 동반하는 경우가 흔했으며, 우울증이 11.6배나 더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성인 ADHD는 현재 우리나라 곳곳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가볍게 볼 질환이 아니다. 성인 ADHD는 대부분 아동기에 방치한 ADHD 증상이 치료되지 않아 나타나기 때문에 만약 자신이 ADHD인 것으로 의심될 시에는 위와 같은 고카페인 음료 섭취, 핸드폰 사용 등을 자제하고 인근 병원으로 찾아가 치료를 받을 것을 권장한다.
이금숙, “ 대인관계 어려운 나, 혹시 '성인 ADHD'?”, 2023.11.01,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11/01/2023110101226.html
배은주. "대학생의 고카페인 음료 중독과 스마트폰 중독, 우울, 불안,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소진, 자존감, 충동성의 관계." 국내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9. 경기도
이은지, ““남다른 창의력, 집중력?” 알고보니 성인 ADHD, 꼭 약물치료 해야할까”, 「YTN」, 2023.11.10, https://www.ytn.co.kr/_ln/0103_202311101704308395
정신건강이야기, https://www.amc.seoul.kr/asan/depts/psy/K/bbsDetail.do?menuId=862&contentId=206532
기사 다시보기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jessi2014@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