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지은
[한국심리학신문=유지은 ]
현대 사회에서 우리는 스마트폰, 컴퓨터, 태블릿 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와 함께 생활합니다. 이러한 디지털 기기들은 우리의 일상생활을 편리하게 만들어 주기도 하지만, 과도한 사용은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디지털 웰빙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건강한 디지털 사용 습관을 형성하는 데 중점을 둔 개념입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디지털 웰빙의 중요성, 주요 요소, 실천 방법 등을 살펴보겠습니다.
디지털 웰빙이란 무엇인가?
디지털 웰빙(Digital Well-being)은 개인이 디지털 기술과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이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개념입니다. 이는 스마트폰, 컴퓨터, 태블릿 등의 디지털 기기 사용을 조절하고, 의도적으로 사용하여 정신 건강을 유지하는 등의 활동을 포함합니다. 디지털 웰빙은 단순히 디지털 기기 사용 시간을 줄이는 것에 그치지 않고, 사용 방식을 개선하고, 디지털 기기를 통해 얻는 긍정적인 측면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디지털 웰빙의 필요성
디지털 기기는 현대 사회에서 필수적인 도구가 되었지만, 과도한 사용은 수많은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중독, 소셜 미디어 피로, 정보 과부하, 수면 장애, 불안과 우울증 등이 그 예입니다. 특히, 팬데믹 이후 비대면 활동이 증가하면서 디지털 기기 사용 시간이 급격히 늘어나 많은 사람들이 디지털 피로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디지털 웰빙을 실천하는 것은 현대인들에게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디지털 웰빙의 주요 요소
1. 균형 잡힌 디지털 사용
디지털 기기의 사용 시간을 적절히 조절하고, 정기적으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상생활에서 디지털 기기 사용 시간을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 제한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할 수 있는 특정한 시간을 정해서 디지털과 멀어지는 시간을 가지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 정신 건강 관리
과도한 디지털 기기 사용은 스트레스, 불안, 우울증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디지털 기기 사용을 조절하여 정신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취미 활동(악기 배우기, 등산하기), 운동 등 디지털 기기 사용과 무관한 활동을 통해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정신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습니다.
3. 생산성 및 시간 관리
디지털 기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시간 관리를 개선하는 것도 디지털 웰빙의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생산성 도구와 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작업 시간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타임 트래킹 앱을 사용하거나, 할 일을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플래너 앱을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4. 디지털 디톡스
디지털 디톡스는 특정한 기간에만 디지털 기기 사용을 중단하거나 크게 줄이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디지털 기기의 과다 사용으로 인한 피로와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오프라인 활동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주말이나 휴가 동안 디지털 기기 사용을 최소화하고, 그 시간에 대신 밖에 나가서 자연을 즐기는 시간을 보내는 것이 좋습니다. 최근 ‘나혼자산다’라는 예능 프로그램에서 코쿤이 금욕 상자를 이용해서 스마트폰 10시간 사용하지 않는 모습이 큰 관심을 끌었습니다.
실천 방법과 조언
1. 사용 시간 모니터링
스마트폰의 스크린 타임 기능을 사용해 일일 사용 시간을 확인하고 조절합니다. 이것으로 스스로가 얼마 동안의 시간을 디지털 기기에 소비하고 있는지 파악하고, 필요한 경우 사용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2. 정기적인 휴식
일정 시간마다 디지털 기기 사용을 멈추고 눈과 마음을 쉬게 합니다. 예를 들어, 50분 동안 디지털을 사용하고 10분 동안은 휴식을 취하는 방식으로 디지털 기기 사용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는 눈의 피로를 줄이고, 정신적 휴식을 도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결론
디지털 웰빙은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건강한 삶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디지털 기기의 과도한 사용은 우리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이것을 적절히 관리하고 조절함으로써 긍정적인 영향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출처)
코쿤 금욕상자-https://www.starnewskorea.com/stview.php?no=2023081200182630744
기사 다시보기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wer09082@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