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장순범 ]


2019년 개봉한 영화 '조커'는 전 세계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 영화는 배트맨 시리즈의 악명 높은 악당 조커의 기원 이야기를 다루고 있으며, 주인공 아서 플렉의 심리적 여정을 그린다. 영화는 아서의 정신 건강 문제와 사회적 고립이 그의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심도 있게 탐구한다. 특히 최근 4월에 '조커 2'의 예고편이 공개되면서 사람들의 관심이 다시 조커에 쏠리고 있다. 조커 2의 개봉이 3개월 앞으로 다가온 현재, 첫 번째 영화에서 다루어진 주제들을 다시 한번 되짚어볼 필요가 있다. 이번 기사에서는 '조커' 속 주인공의 심리 상태와 그의 행동을 심리학적 관점에서 분석해 보겠다.

 


아서 플렉의 정신 건강 문제


영화 '조커'의 주인공 아서 플렉은 심각한 정신 건강 문제를 겪고 있다. 그는 병원에서 처방받은 약을 먹고 있으며, 정기적으로 상담을 받는다. 아서는 특정 상황에서 통제할 수 없이 웃음을 터뜨리는 신경학적 장애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증상은 실질적인 정신 건강 문제를 반영하며, 아서가 사회에서 소외되고 고립되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한다.



 

정신병리학적 분석

아서의 웃음 발작은 무도병이나 기타 신경학적 장애와 유사한 증상을 보인다. 이는 그가 사회적 상황에서 오해와 거부를 당하게 만들어 더욱 고립되게 한다. 그의 정신 상태는 지속적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와 주요 우울 장애(MDD)의 징후를 보인다. 아서의 웃음 발작은 특히 그가 불안하거나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에서 더욱 심해진다. 이는 그가 통제할 수 없는 반응으로, 사회적 상호작용을 어렵게 만들고, 타인과의 관계 형성을 방해한다.

신경학자들은 무의식적이고 통제되지 않은 웃음을 유발하는 것이 감정이 요실금처럼 조절 불가능한 상태라는 '감정실금(PBA)'으로 설명하기도 한다. 신경심리학자 앤디 타이먼은 BBC에 "이것은 사회적 맥락에 맞지 않거나 부적당한 감정이 통제되지 않고 표출되어 실제로 당사자가 느끼는 감정과 일치하지 않은 것을 지칭하는 용어"라고 말했다.


아서의 정신 건강 문제는 단순한 신경학적 장애에 그치지 않는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지속적인 학대와 방치를 경험했으며, 이는 그의 성격 형성과 정신 건강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아서의 어머니는 그를 학대하는 연인과의 관계를 유지했고, 이는 아서가 어린 시절부터 심리적, 신체적 학대를 겪게 했다. 이러한 복합적 트라우마는 그의 성인이 되어서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의 행동과 사고방식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사회적 고립과 그 영향


아서 플렉은 영화 내내 극심한 사회적 고립을 경험한다. 직장에서 따돌림을 당하고, 코미디언으로서 인정받지 못하며, 심지어 어머니와의 관계에서도 문제를 겪는다. 이러한 사회적 고립은 그의 정신 건강을 악화시키고, 결국 그의 폭력적인 행동으로 이어진다.

 

사회적 고립은 개인의 정신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 아서의 경우, 사회적 지지의 부재와 지속적인 스트레스 요인들이 그의 정신적 안정을 무너뜨린다. 특히, 사회적 지지체계의 부재는 그가 극단적인 행동을 선택하게 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아서가 겪는 사회적 고립은 그의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친다. 직장에서의 따돌림과 괴롭힘, 공공장소에서의 무시와 조롱, 그리고 가족 내에서의 정서적 지원 부재가 그의 자아 존중감을 무너뜨린다. 이러한 요소들은 그가 사회로부터 점점 더 고립되게 만들며, 외로움과 절망감에 빠지게 한다. 사회적 지지의 부재는 그의 삶에 깊은 영향을 미쳐, 자아존중감 저하와 자기 파괴적 행동을 유발한다.

 

고립의 악순환

아서의 사회적 고립은 자발적으로 시작된 것이 아니다. 그의 신경학적 장애와 그로 인한 오해, 사회적 낙인은 그를 점점 더 고립시켰다. 이는 일종의 악순환을 형성하게 되는데, 사회적 고립이 심화할수록 그의 행동은 더 파괴적으로 변하고, 이는 다시 그의 사회적 고립을 강화하는 결과를 낳는다. 사회적 고립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정적인 감정은 그가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만드는 촉발 요인이 된다.

 

영화에서 아서가 지하철에서 세 남자에게 폭행당한 후 우발적으로 그들을 살인하는 장면은 그의 사회적 고립과 분노가 폭발하는 결정적인 순간이다. 이 사건은 그가 폭력적인 행동을 정당화하는 계기가 되며, 이후 그의 행동은 점점 더 파괴적이고 치명적으로 변한다. 이 장면은 그의 내면에 쌓여 있던 분노와 좌절감이 폭발하는 순간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영화 '조커'는 정신 건강 문제와 사회적 고립이 개인의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강렬하게 보여준다. 아서 플렉의 이야기는 단순한 악당의 탄생을 넘어서, 현대 사회의 문제점을 심리학적 관점에서 고찰하게 만든다. 정신 건강에 대한 이해와 사회적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이 영화는 우리가 정신 건강 문제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볼 기회를 제공한다. 이 기사를 통해 독자들이 영화 '조커'를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고, 정신 건강과 사회적 고립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BBC뉴스 코리아. URL: https://www.bbc.com/korean/international-50066367?xtor=AL-73-%5Bpartner%5D-%5Bnaver%5D-%5Bheadline%5D-%5Bkorean%5D-%5Bbizdev%5D-%5Bisapi%5D

brunch story[네이버]. (2019). URL: https://brunch.co.kr/@moviehouse/298






기사 다시보기 

완성되지 못한 것은 기억 속에 오래도록 남는다

살인자 ㅇ난감 '이탕' 그는 정의로운 인물인가?

‘5분 보려고 6시간 대기’... “이제 안녕”... 그동안 고마웠어! 푸바오

호주와 예멘 중 어디가 더 인구가 많을까?

마법의 숫자 7 [The magic number 7]

태도와 행동의 불일치가 만드는 심리적 불편함

우리는 왜 기계처럼 냉철하게 주식 거래를 하지 못할까?

저가 커피 브랜드 간판에 '노란색'이 많은 이유

어려운 인간관계를 현명하게 풀어가는 방법

인사이드 아웃 시리즈로 본 감정의 복잡성과 심리학적 이해

부모에 대한 숨겨진 감정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8946
  • 기사등록 2024-08-01 23:00:2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