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신지아]




MBTI의 시작



요즘 성격유형검사 MBTI를 안 해본 사람은 없을 겁니다. MBTI 검사는 본래 학교나 군대에서 성격과 적성을 파악하기 위해 활용했었습니다. 이후 10분 내외로 간단하게 검사를 마칠 수 있는 약식 검사가 확산하며 유행이 시작되었습니다. 자신 드러내기를 좋아하는 MZ세대에게 MBTI 검사는 인기가 점점 높아졌고, 최근에는 기업 면접에서도 면접자에게 물어본다고 합니다.


이전의 '혈액형별 성격'의 유행과 같이 누구나 알고 있는 MBTI를 지금은 마케팅 전략에 활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왜, 어떻게 적용하는지 지금부터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트렌드, MBTI 마케팅



MBTI 마케팅은 다른 방식보다 진입장벽이 낮아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쉽고, SNS에 공유도 가능해 바이럴 마케팅으로 제격입니다. 또 소비자 참여율이 높은 만큼 잠재적 소비자들에 관한 데이터를 많이 수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 예로 신한카드의 ‘소BTI(소비+MBTI)’ 서비스를 들 수 있습니다. 소BTI는 MBTI 체계를 활용해 소비유형을 장소, 방식, 우선순위, 가치 기준 등 4가지 카테고리로 구분했습니다. 그리고 이에 따른 8개의 유형을 도출해 냅니다. 


또 카카오톡은 선물하기 기능을 통해 각 유형의 성격과 취향에 따라 선물을 추천하는 'MBTI 기획전'을 운영하기도 했는데요, 카카오에 따르면 이 기획전을 통해 평균 대비 2배 이상의 클릭 수를 기록했고, 그중 30대가 30% 이상을 차지했다고 합니다.






MBTI 마케팅이 유행하는 이유



그렇다면 마케팅에 활용할 만큼 MBTI가 유행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코로나19를 통해 2020년 초 '집콕문화'가 확산하여 오프라인 만남이 감소하고 온라인상의 소통이 활발해지며 MBTI의 유행은 가속화되었습니다. 이에 자기 나타내기를 즐기는 MZ세대의 특성이 더해져, 소셜 미디어 서비스와 온라인 커뮤니티 중심으로 자신의 MBTI 검사 결과를 '공유'하는 것이 하나의 밈이 되었죠.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고 소통을 이어 나가게 됩니다.


위의 'MBTI 마케팅 사례'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해당 전략은 MZ 세대의 흥미를 유발해 참여를 유도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특히 MZ 소비자는 타인과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서로의 유형을 상호 이해 기반으로 삼는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타깃과 바이럴 효과 또한 노릴 수 있어 저비용으로 높은 파급효과를 끌어냅니다.


또 각 기업이 자체적으로 만든 테스트 결과로 고객들이 선호하는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 고객과 기업 모두 윈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MBTI 마케팅은 트렌디한 기업 이미지 구축 이상의 장점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MBTI에 열광하는 이유



이렇게 MBTI에 사람들이 열광하는 이유를 심리학자들은 2가지로 설명했습니다. 첫 번째로 자신의 정체성을 찾기 어려운 젊은 세대에게 명쾌한 설명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디지털과 코로나로 인해 퍼진 비대면 문화로 인해 우리는 자신이 소속된 사회 집단의 정체성을 모두 대변하기 어려워졌습니다. 이를 MBTI가 우리를 하나의 유형으로 정의하며 정체성 확보 그 이상의 가치를 지니게 된 것입니다.


두 번째로 다양한 유형화입니다. 기존에 가장 대중적이었던 '혈액형별 성격유형'보다 더 많고 다양하게 유형화되었습니다. 그 때문에 사람들은 과학적이고 신뢰가 높아지게 됩니다. 또 이에 따라 자신도 모르는 내면을 긍정적으로 설명해 위안을 주기도 합니다.


단순한 성격유형 검사가 나를 정의하고 마케팅에도 활용한다니, 어떻게 보면 신기한 현상인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 또한 과해지면 안 하느니만 못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MBTI를 활용할 땐 그저 하나의 재미로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처

1) 이준 기자, '[마케팅 전략] 취향 저격 MBTI 마케팅 열풍', 2022.04.21, 식품외식경영, http://foodnews.news/news/article.html?no=503675

2) L.less 김나혜, 김미나, 김민정, 김윤식. (2022). MBTI 마케팅. 마케팅, 56(7), 56-65.

3) 허태윤 칼럼니스트, “당신의 MBTI는 무엇입니까”...MBTI 마케팅의 양면 [허태윤 브랜드 스토리], 2022.07.16, 이코노미스트, https://economist.co.kr/article/view/ecn202207160028





지난 기사보기

내가 영혼 없는 이유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고 같은 실수를 반복한다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9198
  • 기사등록 2024-10-11 13:15:2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