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김나윤 ]


지난 기사에서 일터에서 신경 다양성이 왜 중요한지, 신경 다양인의 특성이 어떤 직업적 성과로 이어질 수 있는지 살펴봤다. 신경다양성의 개념을 알게 된 후라면 직장에서 신경다양성 보존이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은 동의할 것이다. 그러면 ‘어떻게?’라는 질문이 남는다. 자폐 스펙트럼, ADHD, 발달장애와 같은 신경다양인들과 어떻게 함께 일할 것인가? 회사는 그들의 잠재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어떤 전략을 사용할 수 있는가? 

 



신경다양인과 일하기 위한 5가지 전략



1. 그들의 니즈를 직접 물어보라.

신경다양인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첫 단계는 바로 그들에게 필요한 지원을 직접 물어보는 것이다. 어떤 이는 조용한 환경이, 어떤 이는 유연한 근무 제도가, 어떤 이는 규칙적인 쉬는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그들에게 필요한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당사자에게 물어봐야 한다. 


2. 직접적인 언어를 사용하라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들 중에는 ‘돌려말하기 화법’을 이해하기 힘들어하는 경우가 많다. 명확하고 구체적인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의사소통에 도움이 된다. 


3. 구체적으로 지시해 업무의 구조를 만들어라.

ADHD를 가진 사람들은 적절한 목표를 세우고 여러 단계로 일을 분배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업무의 내용과 데드라인 등을 구체적으로 지시해 구조를 형성해 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4. 업무를 여러 작은 단계들로 나누어서 지시하라.

큰 업무를 작은 여러 업무들로 ‘chunking’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A업무를 3달 안에 끝내” 라고 지시하는 것 보다 “A업무의 데드라인은 0월 0일이고, X를 0월 0일까지, Y를 0월 0일까지, Z를 0월 0일까지 완료해야 해” 라고 지시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5. 커뮤니케이션의 방식을 적절하게 선택하라.

어떤 사람들은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을 어려워할 수 있다. 메일, 비대면 미팅, DM 등 다양한 소통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worktopia 홈 화면

Worktopia라는 사이트도 좋은 참고가 된다. 캐나다 연방 자금의 지원으로 운영되며 ecosystem model에 기반해 직장에서 신경다양성을 포용하기 위한 지식, 자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이다. 


‘자원(Resource)’ 탭에서는 포용적인 직장을 만들기 위한 실용적 정보, 인사이트, 가이드 및 전략을 제공한다. Action guide에서는 신경포용적(neuroinclusive) 전략, job samling session, 멘토링 등에 대한 정보를 찾을 수 있다. 일터에서의 신경다양성에 대한 최신 논문들도 업로드되어있어 열람 가능하다. Toolkit에서는 신경다양인과 성공적으로 일하기 위한 전략에 대한 90쪽가량의 Pdf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다. 



‘서비스(Service)’ 탭에서는 신경 다양인 인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전략, 교육 및 훈련을 통해 직장이 더욱 포용적이게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컨설팅, 워크샵 등의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지식공유(Knowledge Sharing)’ 탭에서는 직장에서 신경다양성을 높이기 위한 기사와 인사이트를 제공하며, 인재와 기술에 대한 이해, 포용적인 관행으로 다양성을 보전하는 방법을 다룬다. 일터에서 신경다양성과 관련된 여러 article을 열람할 수 있다.

 

신경다양인들은 직장에서 자신의 특성을 공개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이는 차별에 대한 두려움과 필요한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고용주의 입장에서는 신경다양성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직원의 잠재력을 100%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신경다양성을 이해하고 이를 경쟁력을 활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직원 개개인의 필요에 맞춘 유연한 지원과 배려가 중요한 시점이다. 




*참고문헌

1). How to Support Someone Who Is Neurodivergent . (2023). https://www.charliehealth.com/post/how-to-support-someone-who-is-neurodivergent. 






지난 기사보기

그 사람이 싫은 이유는 냄새 때문? 당신이 몰랐던 후각의 심리학

[행복 1부] 당신의 뇌는'팝콘 브레인'인가요? 숏폼이 주는 짜릿하지만 위험한 행복

[행복 2부] 당신의 행복을 스크린에 가두지 마세요

“케이크를 똑같이 나누는 방법을 모르겠어요" 우리가 모르는 경계선 지능인의 이야기

"동료 20%가 당신과 다시 일하기 싫어합니다" 양날의 검, 다면평가

00에서 공부하면 시험에 더 유리하다? 맥락일치효과

'인정하면 편해' ... 비관적 낙관주의로 고통을 바라보는 법

왜 살아야 하는지 아는 사람은 그 어떤 상황도 견뎌낼 수 있나니

피드백도 기술이다

기업이 자폐인을 채용해야 하는 이유- 신경다양성의 관점에서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9528
  • 기사등록 2025-01-15 21:39:5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