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네발 달린 치료사’와 ‘자연이 주는 백신’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 : 동물매개치료와 치유농업
  • 기사등록 2022-04-21 07:53:06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김송하 ]



요즘 밖에 나가 산책을 하다 보면 날씨가 따뜻해져서 그런지 힘차게 꼬리를 흔들며 산책하는 강아지나 햇살 아래 낮잠을 자는 고양이, 꽃들 사이를 날아다니는 나비의 모습을 자주 보게 되는데요. 이런 모습들을 볼 때면 저도 모르게 발걸음을 멈추고 하염없이 바라보면서 행복한 미소를 짓게 됩니다.


저희 어머니는 집에서 다양한 식물을 키우시는데 식물들을 ‘내 새끼들’이라고 하며 잎이라도 떨어져 있으면 마음 아파하시고, 새싹이 돋아나면 항상 제게 자랑을 하곤 하십니다. 

 

아마 여러분들도 저나 저희 어머니처럼 동물이나 식물, 곤충을 보며 행복감을 느껴본 분들이 많을 거라고 생각하는데요. 이러한 동물과 식물, 곤충을 보며 느끼는 행복감을 심리 치료나 치유 목적으로 활용하기도 하는데, 이를 각각 '동물매개치료'와 '치유농업'이라고 합니다.


여러분들은 '동물매개치료'와 '치유농업'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으신가요? 

 


'네발 달린 치료사' - 동물매개치료 



아마 동물매개치료에 대해서는 들어보신 분들이 좀 있을 거라고 생각하는데요. 

동물매개치료란 사람과 치료를 위해 훈련받은 동물이 신체 활동이나 마사지 등 교감하는 과정을 통해, 인지적/심리적/신체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분들의 치료에 도움을 주는 심리치료기법을 말합니다. 동물매개치료에 주로 활용되고 있는 동물은  ‘개’인데요. 개 이외에도 고양이, 말, 돌고래 등 사람과 감정적 교류가 가능한 동물이라면 모두 치료에 활용 가능하다고 합니다.

 

실제로 노인전문병원에 입원 중인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개를 활용한 동물매개치료를 실시한 결과 치매노인들의 인지 기능 향상과 우울 감소, 삶의 질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며 미국 애리조나의 한 노인 요양원에서 치매를 앓고 있는 노인 환자들이 어미를 잃은 새끼 길고양이를 돌보기 시작하며 치매 증상이 완화된 사례도 있었다고 하는 만큼 동물매개치료가 우울 감소나 인지 기능 향상 등의 치료에 실질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까지 읽은 분들 중에서 동물매개치료가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것은 알겠지만, 치료견에게는 훈련과 치료 과정이 스트레스가 되지는 않을까 걱정하시는 분들도 있을 것 같은데요. ‘원조 개통령’이라고 불리시는 이웅종 소장님의 말에 따르면, 물론 처음 교육을 진행할 때는 치료견도 많은 스트레스를 받지만 교육 후 좋아하는 간식을 통해 보상을 해주고 치료 활동이 끝난 후에는 신나게 놀아주는 시간을 가져 치료 과정에서 겪었던 안 좋은 기억들을 없애주는 시간이 있기 때문에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합니다.

 

 

'자연이 주는 백신' - 치유농업



다음으로 치유농업은 저도 최근에 알게 된 분야인데요. 아마 처음 들어본 분들이 많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치유농업을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농업 및 농촌자원을 활용해 텃밭을 가꾸기도 하고 곤충이나 자연을 보며 사람의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것을 말합니다.


농촌진흥청의 연구에 따르면 치유농업이 청소년의 불안감을 45%, 스트레스는 52%, 우울감을 56% 감소시켰고 이 외에도 학교폭력 문제 완화, 노인 건강 증진효과, 대사성 만성질환자의 건강 증진 등의 과학적 효과를 검증해온 만큼 앞으로도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치유농업이 활성화돼야 된다고 생각하는데요. 이와 관련된 노력의 일환으로 농촌진흥청에서는 ‘치유농업 전문가 양성 제도 운용’, ‘치유농업 기반 구축’, ‘다양한 치유농업 서비스 제공’, ‘치유농업 연구개발’에 힘쓰고 있다고 하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농촌진흥청 홈페이지나 인터넷 검색을 통해 더 알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동물매개치료와 치유농업에 대해 소개를 해보았는데요. 정신건강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많아지면서 전 세계 멘탈 헬스케어 분야 관련 시장이 80 ~ 100조 원 규모로 추산되고, 잠재적 시장까지 더한다면 수백조 원 규모에 달한다고 하는 만큼 우리나라에서도 관련 분야의 발전을 위해 많은 관심과 고민이 필요한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제 글이 여러분들의 관심을 조금이라도 올리는 데에 도움이 됐기를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산책하다가 우연히 발견한 모습을

여러분들과 공유하고 싶어 직접 찍은 사진을 첨부했습니다. 

기사 작성을 위해 사진을 보면서도 저는 행복감을 느꼈는데요. 

여러분들도 사진을 보며 저와 비슷한 감정을 느끼시길 바라며 이만 줄이겠습니다. 


 




지난기사

나는 나를 잘 모른다.

시간 도둑으로부터 내 시간을 지키는 방법

기억은 걸어놓는 고리가 성장하는 나무와 같다.

사람은 공간을 만들고 공간은 사람을 만든다

지금 당신은 어떤 공간에 살고 있나요?

아이디어를 잘 떠올릴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참고 자료]

배경호. (2021). [애니멀 시그널] 사람들의 마음을 치유해주는 ‘동물 매개 치료견’. YTN사이언스 

김준택, 이동훈. (2016). 동물매개치료가 노인의 인지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북의성요양원을 중심으로.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 5(2) 67-78p

이시종, 김옥진. (2020). 집단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치료학회지, 20(2), 115-134p

오수정. (2022). '반려동물 키우기', 치매 치료에도 효과적? '애니멀 테라피 프로그램' 확대.  DementiaNews

이정인. (2021). 자연이 주는 백신 한국형 치유농업 모델 개발. 농촌진흥청 치유농업추진단

농사로. (검색일: 2022. 4. 9). URL: https://www.nongsaro.go.kr/portal/portalMain.ps?menuId=PS00001  

농촌진흥청. (검색일: 2022. 4. 9). URL: https://www.rda.go.kr/main/mainPage.do 

 

TAG
1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3336
  • 기사등록 2022-04-21 07:53:0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