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박소영 ]



오늘날 발달 심리학에서는 2000년대 발달 심리학자 제프리 젠슨에 의해 처음 만들어진 ‘젊은 성인 단계(Emerging and Young Adulthood)’라고 불리는 발달 시기를 볼 수 있다. 이는 청소년기에서 어른으로 넘어가는 시기 사이에 있는 단계로, 계속되는 기술의 발전과 점점 증가하고 있는 직업의 종류로 인해 젊은 세대층이 특별히 겪고 있는 발달적 그리고 심리적 어려움을 고려한 것이다.


여러 고민 중 눈에 띄는 어려움이 특히 진로 고민과 취업인데, 실제로 2015년과 2021년 동안 서울시 직업 만족도 통계에 의하면 20대 연령층의 직업 만족도가 거의 “보통(44.9%)”과 "약간 만족(38.8%)"에 머무르며 만족도가 낮은 수준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지난 21개월 동안 청년 취업자 수가 5,000명으로 줄어 실업률이 0.2%포인트로 오른 것을 고려하면 진로 및 취업에 대한 어려움이 청년들 사이에서 매우 큰 고민이라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 속, 우리가 많이 듣는 이야기 중 하나가, 진로를 결정하기 위해 ‘목적’을 찾는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 목적이라는 말을 들으면, 너무 멀어진 것과 같은 우리의 미래와의 거리에 쉽게 맥이 빠지는 것 같은 느낌이 들곤 한다. 삶의 목적도 중요하지만, 진로 고민에 관한 강연에서 셀레스트 헤들리와 클로이 하킴 무어 두 명의 강사가 설명한 삶의 임무(mission)와 자기 실현(fulfillment)을 찾는 것이 무엇인지 한번 알아보자.


먼저, 헤들리 강사가 말하는 삶의 임무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목적이나 직업의 타이틀에 휘둘리지 않고 우리가 성취하고자 하는 가치를 이야기한다. 그녀의 개인적 경험에 의하면, 음악 석사학위를 받고 현재 라디오 기자로 일하고 있는 동안 많은 사람이 자기 학력과 직업의 연관성을 질문했을 때, 자신이 본래 가지고 있던 꿈의 직업이나 목적을 이야기하는 것 대신, 자신이 이루고자 했던 임무를 이야기한다고 한다. 예를 들면, 유명한 오페라 가수가 되는 것 대신 “목소리를 이용해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고 사람들과 소통하는 것”과 같이 말이다.


늘 그렇듯이, 예상하지 못한 부분에서 답이 찾아지곤 한다. 생각해보면, 우리가 선택하는 전공 또한 사회가 정해준 틀에 대한 답변이지, 정작 우리가 찾고자 하는 삶의 임무와 성취는 이 틀 밖에 있을 수 있다. 물론, 사회의 틀 밖의 가치를 찾는 과정과 이 가치가 인정받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긴 여정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뜻에서, 하킴 무어 강사가 말하는 자기 실현과 심리 건강을 우선순위로 두는 것이 중요한데, 이러한 방법 중 하나는 삶의 여러 불확실 중 우리가 통제할 수 있는 몇 가지, 예를 들면 꾸준한 자기 계발을 통해 스스로에게 솔직해지는 법을 배우고, 새로운 경험과 실수에 대범해질 수 있는 용기를 기르는 것이 있다.


사회가 원하는 기대에 맞추어 살아가다 보면 때론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고, 즐기는지 잊어버리기 쉽다. 사회의 치열한 경쟁 속 이루어나가는 목적은 계획과 달성의 순환일 뿐, 내면의 성장에 대한 강조가 부족한 사회의 시스템 중 하나이다. 바쁠수록, 스스로를 챙기며, 질문하며, 이 길이 나와 맞는지, 만약 이 길을 간다면 아무리 힘든 일이 있어도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자신이 있는지, 등등 고려하며 내면의 힘을 기르는 것이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찾는데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지난 기사

언어의 변화, 더 큰 사회의 변화

건강 vs. 웰빙(Wellbeing)

문화가 정의하는 '평범'

긍정 심리학으로 포스트 코로나 이겨내기

언어 발달 장애를 향한 관심과 선택적 함구증

언어 발달 장애를 향한 관심과 선택적 함구증 2부: 스티븐 커츠 박사님과의 인터뷰

심리학 전공이란 완벽을 추구하는 완벽하지 않은 연구원으로서 살아가는 것



 


참고문헌

김형민. (2022). 청년 취업자 수 1년 9개월만에 줄었다. 동아일보: 경제. URL: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21215/117004508/1 

최성용. (2022). 서울시 직업 만족도 통계. 서울특별시: 데이터셋. URL: https://data.seoul.go.kr/dataList/10977/S/2/datasetView.do 

Celeste Headlee. [TEDx Talks]. (2015, 3월 16일). Don't find a job, find a mission [영상].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VVx6ntr5OqI

Chloe Hakim-Moore. [TEDx Talks]. (2020, 3월 17일). Stop chasing purpose and focus on wellness. [영상].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rKQLBiylsn8

Gilmore, K. (2019). Is emerging adulthood a new developmental phase? Journal of American Psychoanalytic Association, 67(4), p. 625-653. DOI: 10.1177/0003065119868680.

Jeffrey Jensen Arnett. [TEDx Talks]. (2015, 4월 28일). Why does it take so long to grow up today? [영상].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fv8KpQY0m6o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5347
  • 기사등록 2022-12-29 15:30:4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