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연
[The Psychology Times=이소연 ]
똑같은 상황 똑같은 내용의 경험이라 하더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다른 의미로 받아들여지는 이유는 각각 개인이 그것을 어떻게 인지하고 해석하는 것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가장 대표적이 예는 물이 반 정도 담겨있는 컵입니다. 누군가는 컵에 물이 반 밖에 안 담겨있다고 말하지만 다른 누군가는 컵에 물이 반 정도 담겨있다고 말합니다. 컵에 물이 반 정도 담긴 상황을 인지하고 각자 다르게 해석했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인지는 사람마다 해석하는 것이 다르기 때문에 잘잘못이 없지만, 기계에서 오류가 생기듯이 사람의 인지에도 오류가 생기기도 합니다. 이것을 인지적 오류(왜곡)라고 합니다.
인지적 오류
인지적 오류, 인지적 왜곡이라고도 표현하는데 어떠한 상황이나 사건 등에 있어 지나치게 부풀려지거나 왜곡되어 잘못된 해석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인지적 오류에는 10개가 넘는 오류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우리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오류들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정신적 여과: 머릿속으로 긍정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좋은 여지는 모두 걸러버리고 나쁜 일들만 남기는 것. 게다가 그것들을 바라볼 때, 전체적인 모든 상황을 부정적인 것으로 해석합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잘 진행하여 칭찬받았으나, 상사에게 지적받았던 일 떠올리며 우울했던 하루라고 생각하는 경우입니다.
개인화시키기: 본인이 노력했지만 어쩔 수 없이 발생한 일마저도 자기 잘못이라고 생각하도록 하는 인지적 오류입니다. 과도한 자책감을 불러일으켜 자기가 통제할 수 없는 사건마저도 개인의 책임으로 여기게 됩니다. 예를 들어 상대 거래처가 갑작스럽게 변심하여서 회사 일에 차질이 생겼을 때, 내 잘못 때문이라고 자책하는 경우입니다.
감정적 추론: 본인이 그렇게 ‘느끼기’ 때문에 그것을 ‘그러하다’라고 쉽게 판단해버리는 경향입니다. 이러한 감정적인 판단에는 사실 여부, 합리성을 항상 동반하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서 나는 이번 일을 하면서 불쾌감을 느끼기 때문에 이 일은 잘못되어가고 있다고 느끼는 것입니다.
이러한 인지적 오류는 우울감을 유발할 수도 있기 때문에 오류를 인식하고 바로잡으려고 해야 합니다. 저는 오류를 바로잡는 과정에서 정서 조절과 정서 인식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정서 조절, 정서 인식
정서 조절이란 특정한 정서를 경험하고 표현하는 방식을 결정하는 인지과정입니다. 우리는 살면서 다양한 정서를 경험하는데 정서에는 행복처럼 긍정적으로 여겨지는 정서도 있고, 슬픔이나 분노처럼 부정적으로 여겨지는 정서가 있습니다. 부정적 정서는 경험할 당시에는 불쾌하고 고통스러울 수도 있지만, 우리가 겪고 있는 상황에서는 적응하는 행동을 다른 행동들보다 처리하도록 하여서 효율적이고 빠르게 대처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도 합니다. 정서를 조절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사람들이 자신의 생각하거나 계획한 대로 일을 해내는 것을 향상하거나 자신뿐만 아니라 세상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혹은 사회적인 관계의 만드는 등 여러 가지 동기를 만족시키려고 자신이 경험하는 정서를 조절하기도 합니다. 정서를 개인이나 사회에 도움이 되도록 조절하기 위해서는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하여야 합니다.
정서인식명확성이란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단순히 긍정적, 부정적으로 구분하는 것을 넘어서서, 여러 가지 정서를 개별적으로 구분하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자기-지각된 정서 지능으로도 불릴 수 있는 정서인식명확성은 본인 스스로가 경험하는 정서가 명확하거나 혼란스러운 것에 대한 믿음이라고 정의되기도 합니다. 경험하는 정서를 명확하고 정확하게 인식하고 구분하는 능력이 높으면, 자기 스스로의 정서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자원을 적게 배분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목적-지향적인 인지와 행동에도 더 많은 자원을 배분할 수 있습니다. 본인이 경험하는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하지 못하면 자신의 정서에 필요 이상으로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에 대한 초기의 정서 반응을 처리하는 데에 많은 시간을 헛되게 사용하면서 자원을 과도하게 배분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서 정작 그 정서를 유발하게 만들었던 원인을 없애는 문제해결전략을 사용해야 할 자원이 부족하게 되어서 이후에 행동을 설계하기 어렵게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서 조절과 정서 인식이 중요합니다.
지난 기사
참고문헌
김수민, 현명호. (2018).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의 관계에서 인지적 융통성의 매개효과. 스트레스연구, 26(3), 159-165.
Gross JJ. (2002). Emotion regulation: Affective, cognitive, and social consequences. Psychophysiology. 39(3):281-291. https://doi.org/10.1017/S0048577201393198.
Parrott WG. (1993). Beyond hedonism: Motives for inhibiting good moods and for maintaining bad moods. In DM Wegner, JW Pennebaker (Eds.), Century psychology series. Handbook of mental control (pp. 278-305). Englewood Cliffs, NJ, US: Prentice-Hall, Inc.
Öhman A, Mineka S. (2001). Fears, phobias, and preparedness: toward an evolved module of fear and fear learning. Psychol Rev. 108(3):483-522. https://doi:10.1037//0033-295X. 108.3.483.
Gohm CL, Corser GC, Dalsky DJ. (2005). Emotional intelligence under stress: Useful, unnecessary, or irrelevant? Pers Individ Dif. 39(6):1017-1028. https://doi.org/10.1016/ j.paid.2005.03.018.
Gohm CL, Clore GL. (2000). Individual differences in emotional experience: Mapping available scales to processes. Pers Soc Psychol Bull. 26(6):679-697. https://doi.org/ 10.1177/0146167200268004.
Gohm CL, Clore GL. (2002). Four latent traits of emotional experience and their involvement in well-being, coping, and attributional style. Cogn Emot. 16(4):495-518. https:// doi.org/10.1080/02699930143000374.
정신의학신문 [김총기]. (2021, 5 27). [정신건강백과사전] 부정적인 사람들의 8가지 생각 패턴(김총기, 인지오류, 인지왜곡)[Youtube]. Retrieved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pigRJOONtj4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yoyo3562@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