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정재하 ]


짝사랑이 잊히지 않는 이유


2월 14일은 밸런타인데이로 소중한 이에게 초콜릿을 선물하는 날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들과는 조금 다른 특별한 밸런타인데이 문화가 자리 잡았는데, 주로 밸런타인데이에 여자가 남자에게 초콜릿을, 화이트데이에는 남자가 여자에게 사탕을 선물한다. 다가오는 밸런타인데이를 기념하여 이번 기사에서는 짝사랑이 잊히지 않은 이유를 심리학적으로 풀어보려고 한다.


자이가르닉 효과 (Zeigarnik Effect)


  • 드라마에서 등장인물들의 감정이 고조되고 몰입도가 정점을 찍었을 때 다음 편을 예고하며 이야기가 중간에 뚝 끊겨 아쉬웠던 경험을 누구나 한 번쯤 해보았을 것이다. 가장 재미있을 때 드라마가 끝나게 되면 우리는 자연스럽게 일주일 내내 그 드라마의 뒤 내용에 대해 궁금해하고 드라마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된다. 이렇게 중단되었거나 완료되지 않은 것이 더 기억에 잘 남는 현상이 바로 자이가르닉 효과(Zeigarnik Effect)이다. 


  • 짝사랑의 경우 좋아하는 마음이 걷잡을 수 없이 커져버려 감정이 고조되었을 때 끝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좋아하는 사람과의 관계가 진전 없이 중도에 끝나버렸을때, 자이가르닉 효과로 인해 짝사랑을 한 기억이 훨씬 오래 기억에 남는 것이다. 시험이 끝나면 모든 것을 한순간에 잊어버리는 이유도 이 자이가르닉 효과 때문이다.


므두셀라 증후군 (Methuselah syndrome)


  • 짝사랑을 잊을 수 없는 이유 두 번째는 바로 므두셀라 증후군 때문이다. 므두셀라 증후군은 좋았던 기억만을 떠올리는, 쉽게 말해 추억을 미화시키는 경향을 뜻한다. 짝사랑뿐만 아니라 남자가 첫사랑을 잊을 수 없는 이유가 이 증후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아팠던 기억들은 잊히고, 내가 좋아했던 그 사람의 모습만이 기억에 남기 때문에 짝사랑을 잊기 힘들어진다.


  • 또한, 연애를 했을 경우 대부분 연인의 장단점을 모두 보게 된다. 하지만 짝사랑의 경우 그 사람의 양면을 모두 다 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그 사람의 좋은 점만이 떠오르게 되고, 너무 좋은 사람을 놓쳤다는 아쉬움에 더욱 기억에 오래 남게 된다.


도파민(Dopamine)의 분비


  • 도파민은 뉴런에서 분비되는 우리 몸에 필수적은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이다. 도파민이 분비될 때 우리는 ‘기분이 좋다’고 느낀다. 다만 주의해야 될 점은 도파민은 어떤 행위를 끝냈을 때 분비되는 물질이 아니다. 도파민은 보상보다는 동기부여적 능력이 강한 물질이다. 


  • (도파민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지난 기사 ‘심심한 천국? 재밌는 지옥?’을 참고해 주세요.)


  • 쇼핑을 예로 들자면 보통 도파민이 결제를 했을 때 나오는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도파민은 어떤 물건을 살까 고민하는 순간부터 분비된다. 어떤 결과가 예상되는 행위를 하는 순간부터 나오는 것이 도파민이기 때문에 짝사랑을 할 때 도파민이 분비될 가능성이 높다. 그 사람과의 순간을 되새기며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도파민이 분비되기 때문이다. 설레고 좋은 감정을 느끼게 해주는 짝사랑의 순간을 쉬이 잊지 못하는 것은 당연하다. 짝사랑에 중독되는 것도 놀랍지 않은 일이다.


마치며


  • 이번 기사에서는 밸런타인데이를 기념하여 짝사랑을 잊지 못하는 이유를 심리학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다만, 기사 내용과는 무관하지만 한 가지 사실을 짚고 넘어가려 한다. 1910년 2월 14일은 안중근 의사가 사형 선고를 받은 날이다. 전 세계 사람들이 2월 14일을 밸런타인데이라고 여기더라도 우리나라 국민만큼은 안중근 의사의 사형선고일로 기억해주었으면 하는 마음이다. 





  1. 지난 기사

    심리치료 분야의 아버지, 아론 백의 인지 치료(Cognitive Therapy)

    특별한 사람이 되는 법

    알아두면 쓸모 있는 심리 효과 5가지

    새드 엔딩은 왜 꾸준히 사랑받을까?

    외로움

    심심한 천국? 재밌는 지옥?

    인간의 호기심 때문에 희생된 동물들

  2. 다가오는 새해, 작심삼일의 늪에서 벗어나기

  3. 알아두면 있어 보이는 심리 효과 2





출처: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n.d.). APA Dictionary of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Retrieved January 22, 2023, from https://dictionary.apa.org/zeigarnik-effect 

이동귀, 『너 이런 심리법칙 알아?』, 21세기북스, 2016.11.30

정재하 [심심한 천국? 재밌는 지옥?]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5261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5542
  • 기사등록 2023-02-02 21:03:0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