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김민정 ]



1986년부터 1991년까지 약 6년에 걸쳐 이춘재는 화성에서 연쇄살인을 저질렀다. 

10명의 피해자는 모두 여성이라는 공통점이 있었지만 연령은 10대부터 70대까지 매우 다양했다. 범인은 논두렁이나 수풀 등에 숨어 밤 늦게 귀가하는 여성을 노려 납치하고 성폭행 후 스타킹이나 양말 등 피해자의 소지품을 이용하여 살해하였다. 이러한 연쇄살인의 특징은 무엇일까.

 


연쇄살인이란?


‘연쇄살인’ 용어는 미국의 연쇄 살인자인 테드 번디(Ted Bundy)가 약 30여 명의 여성을 살해한 범죄를 설명하기 위하여 처음 사용되었다. 연쇄살인범죄는 각각의 범죄유형자들이 다양한 범죄의 원인 및 동기부여가 범죄들간의 동질성을 파악해내기 매우 어려운 범죄유형이다(Mott, 1999). 

 

연쇄살인의 유형은 피해자 수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한 장소에서 피해자 한 명이 살해된 경우는 단일 살인, 두 명이 살인된 경우는 이중 살인으로 칭하며, 네 명 이상의 피해자가 살인된 경우는 다수 살인 또는 대량 살인이라고 한다. 4명 이상의 가족이 한꺼번에 살해되는 경우, 가해자가 자살한다면 다중 살인/자살로 분류되지만, 가해자가 자살하지 않는 경우만 가족 다중 살인으로 분류된다.

 

연쇄살인은 연속살인과 구분된다. 연쇄살인은 범죄자가 어느 정도의 심리적 냉각기를 가진 후 3곳 이상의 개별적인 장소에서 3건 이상의 독립적 살인을 저지르는 것을 의미하지만, 연속 살인은 심리적 냉각기 없이 짧은 시간 동안 2곳 이상의 장소에서 한 건의 살인사건이 발생하는 것이다. 즉 ‘심리적 냉각기’로 인한 시간적 차이가 있다.

 


연쇄살인의 동기는?


개인·집단적 원인, 성적 동기, 범죄적 이익을 위한 동기 외에도 자신만의 이념이나 단순한 권력 및 스릴을 즐기기 위해 연쇄살인을 하는 경우도 있다. 

 

집단적 원인은 사이비 종교 등에서 종교의식의 하나로써 살인을 자행하거나 집단의 이익을 위해 인질극을 벌이는 테러 등이 포함되고 집단적 차원에서 발생한다. 잘못된 성적 욕구에 의한 성적 동기, 금전적 이익을 위해 유괴살인이나 보험금 살인사건 등이 범죄적 이익을 위한 동기이다. 연쇄살인범 자신만이 가지고 있는 옳지 못한 이념으로 특정 개인이나 집단의 목표를 발전시키기 위해 살인을 하기도 한다.

 


연쇄살인범의 특징은?


연쇄살인범은 자신이 이성적 판단을 할 수 있는 심리적 냉각기를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지속적으로 살인을 반복한다. 살인이 반복될수록 범죄자는 더 큰 심리적 쾌락을 얻고자 잔인해지며, 피해자가 죽음에 이르는 것을 보며 최고의 절정을 느낀다. 다른 쾌락으로는 방화가 있다. 이들은 파괴의식을 가지고 있으므로 불을 질러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이 타버리고 잿더미만 남아 사라져버리는 광경을 쾌락으로 느끼게 된다.

 

연쇄살인범은 사회적 규범 및 양심에 의한 압박을 받지 않고 기회주의적이다. 이들은 주로 자신보다 약하고 접근이 쉬운 성매매, 가출여성들 또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지만, 스스로 피해자를 선택하고 범행 장소와 과정을 계획 후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에만 살인을 저지르기도 한다. 연쇄살인의 유형 중 ‘강간형’의 피해자 성별은 모두 여성이었고, ‘강도형’과 ‘재물형’, ‘혼합형’은 남녀 모두 피해자이지만, 전체적으로 여성피해자가 남성피해자에 비해 약 10배 이상 많았다.

 

어린 시절 연쇄살인범은 동물을 잔인하게 학대하고 죽였을 가능성이 높다. 일반적인 사람들은 훼손된 시체를 보면 끔찍함을 느끼고 싫어하지만, 이들은 오히려 친숙하게 반응한다. 연쇄살인범이 동물을 좋아한다면 그 이유는 동물이 타고난 잔인성을 언제든지 동물에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연쇄살인범의 동기 및 특성을 분석하여 그들을 범죄를 방지하고 억제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최용석. (2019). 연쇄살인범죄의 심리적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경찰복지연구, 7(1), 27-58.

김진혁(Kim Jin hyeok). (2014). 연쇄살인에 관한 프로이트적 접근.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3(1), 34-56. 

공정식(Jung-Sik Gong). (2018). 우리나라 다수살인범의 동기유형과 범행특성. 한국범죄심리연구, 14(1), 11-31. 






기사 다시보기 

“넌 내가 제일 잘 알아”, 애정을 가장한 가스라이팅

학교 내 피라미드는 존재하고 있을까?

무언가를 믿는다면 더 행복해질 수 있는 것인가?

스토킹, 그 시작은 무엇 때문일까?

살인예고와 묻지마 칼부림, 무슨 이유로 인한 것일까

‘너 오늘 파란 티 입었네? 시원해 보인다’ 색채가 주는 심리적 영향

“운동하면 다 괜찮아져” 운동중독은 긍정적 중독일까?

디지털 뒤에 숨은 또 다른 성범죄, N번방이 끝일까?

“이 물건 인기 많던데, 나도 써볼까?” 과연 합리적인 소비일까?

자기합리화, 결국 만족하시나요?

결국 들키게 되는 거짓말을 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8952
  • 기사등록 2024-08-02 01:08:0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