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박소영 ]



삶의 반을 직장생활로 보내는 만큼, 직장환경과 직장 내 인간관계는 개인의 직장 만족도, 그리고 삶의 만족도를 책임지는 중요한 요인들이다. 예를 들어, 한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서 직장인들이 기업을 떠나는 계기를 물리적 관성에 비교했는데, 이 관성을 자극하는 힘이 바로 직장환경과, 직장인들이 이 환경 속 느끼는 편안함이라고 설명한다. 따라서, 자기 직장이 자기와 맞는지 질문하는 개인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직장 환경과 직장 내 팀워크를 결정짓는 사회적인 노력 또한 일의 효과, 만족도, 그리고 조직의 방향과 성취를 이루는데 중요하다.


이러한 기업의 전체적인 분위기 조성에 개선을 도와주는 사람으로 조직 심리학자의 조언을 들을 수 있는데, 물론 기업의 번창과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큰 그림의 일부이지만, 이들이 개선하고자 하는 부분은 기업 내 팀워크, 직장인들의 정신 건강이나 웰빙과 같은 세부적인 목표를 가지기도 한다. 예를 들면, 직원 업무관리와 만족도, 새로운 직원 채용 전략과 같이 직장 내 소통 그리고 관계에 중점을 두는데, 확실히 이러한 요인들이 직장인들보다는 리더의 자세와 준비성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리더십이란 과연 무엇일까? 리더십이란, 한 단체의 리더가 다른 개인들과 공통적인 목적을 이루는 데 있어 주는 역할 및 영향을 말하는데, 개인마다 그리고 기업마다 여러 가지 모습과 가치관을 가진다. 조직 심리학자가 중요하게 여기는 리더의 가치로서 심리학자 캐롤 드웩(Carol Dweck)의 성장 사고방식(Growth Mindset)을 들 수 있는데, 자기 잠재력이 선천적이며 한계가 있다고 믿는 고정된 사고방식(Fixed Mindset)에 비해 꾸준한 노력과 성취로 계속해서 성장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을 성장 사고방식이라고 한다. 이는, 겉으로 보이는 모습보다 실수와 배움을 강조하며, 특히나 기업의 창의적인 문제해결 방법과 동료 간의 협력에 큰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응용 심리학 전공 동아리 회장으로서 이러한 점을 고려해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리더는 다른 구성원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자발적으로 학교에 지원해 학생 리더로 일하는 기회이기에 경험을 얻는다는 생각으로 최대한 즐거운 마음으로 임하자는 것이다. 실제로, 이러한 구성원과 동아리의 마음가짐이 이벤트를 계획하는 과정에서도 드러났고 이러한 진심을 통해 꽤 성공적으로 한 학기를 마무리할 수 있었다. 물론, 7명의 동아리 구성원과 기업 전체의 직원과 상사와의 관계는 더 복잡하고 통제하기 어려운 규모를 가지지만 일의 경험과 교훈과 같은 가치 및 진실성을 강조하다 보면 기업 또한 매출 인상이나 기업의 성공과 같은 결정적인 목적들도 자연스럽게 따라오지 않을까 싶다.


이처럼, 우리가 잘 모르고 있는 직장생활의 만족도를 결정짓는 중요한 동기 중 하나는 직장환경, 직장동료나 상사와의 관계와 같은 사회적 시스템에 달려있기도 하다. 개인이 이루고자 하는 직장 바램과 더 큰 조직의 목적이 어떻게 직업 만족도와 조직 성공에 영향을 끼치는지, 그리고 리더와 개인이 가져야 할 마음가짐이 무엇인지 꾸준히 질문하고 공부하고 소통하고 협력하며 일하는 것이 기업 전체의 중요한 추진력이 될 것이라 믿는다.




지난 기사

언어의 변화, 더 큰 사회의 변화

건강 vs. 웰빙(Wellbeing)

문화가 정의하는 '평범'

긍정 심리학으로 포스트 코로나 이겨내기

언어 발달 장애를 향한 관심과 선택적 함구증

언어 발달 장애를 향한 관심과 선택적 함구증 2부: 스티븐 커츠 박사님과의 인터뷰

심리학 전공이란 완벽을 추구하는 완벽하지 않은 연구원으로서 살아가는 것

사회의 틀 밖에서 진로 방향 찾기




참고 문헌

de la Rosa, E. (2022년 11월 28일). Introduction to personality theories: Personality in the workplace. 뉴욕대학교.

Dweck, C. (2016년 1월 13일). What having a “Growth Mindset” actually means. Harvard Business Review. https://hbr.org/2016/01/what-having-a-growth-mindset-actually-means

Flowers, V. S., & Hughes, C.L. (1973). Why employees stay. Harvard Business Review. https://hbr.org/1973/07/why-employees-stay

Hastings, R. (2021년 12월 2일). How and why to develop a growth mindset in the workplace. Emeritus. https://emeritus.org/blog/growth-mindset-in-the-workplace/

Industrial/Organizational Consulting. [웹사이트]. (연도 미상). URL: https://skillsourcelearning.com/industrial-organizational-psychology-consulting/[PB1] 

조직심리학. [웹사이트]. (연도 미상). URL: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88600&cid=40942&categoryId=31531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5398
  • 기사등록 2023-01-09 20:52:5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