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세
[The Psychology Times=이은세 ]
나에게 심꾸미란...
안녕하세요, 심꾸미 기자단 7기로 활동한 이은세 기자입니다.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길었던 6개월간의 심꾸미 활동이 끝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처음 심꾸미 기자단으로 지원했을 때의 열정, 첫 기사를 송고했을 때의 떨림, 매번 글의 소재를 정하면서 겪었던 고민과 더 좋은 글을 쓰기 위해 들였던 모든 노력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지는 것만 같습니다. 제게 심꾸미 기자단 활동은 첫 기자단 활동이었던 터라 제게 의미가 큽니다. 혼자서만 글을 쓰던 제가 독자의 흥미를 자극하고 심리학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키기 위해 글을 쓰고 세상에 저의 이야기를 내놓았던 이번 활동의 경험이 앞으로의 제가 걸어갈 길들을 위한 발돋움이 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제가 무척이나 애정을 가지고 있는 심리학이라는 학문을 주제로 기사를 작성했기 때문에 즐겁게 기사를 작성했지만 그럼에도 기사의 소재를 찾는 것은 항상 어려운 문제였습니다. 심리학만큼이나 일상에 밀접한 학문이 없을 만큼 일상의 모든 질문이 기사의 소재가 될 수 있었지만 명백한 근거로 설득력 있는 이야기를 해야 하는 기사라는 글의 특성상 저의 얕은 지식 탓에 다루고 싶은 소재를 못 다룬 경험도 많습니다. 그럴 때마다 더 열심히 자료를 찾아보고 논문을 읽어보는 등 기사의 밑바탕이 되는 취재에 더 노력을 많이 기울이게 되었습니다.
더 좋은 기사를 만들어갈 수 있었던 이유
초반에는 하나의 기사를 작성할 때마다 매번 오랜 시간을 할애했습니다. 기사를 처음 쓰는 것이다 보니 ‘나의 생각이 너무 많이 개입된 것은 아닐까’, ‘근거가 있는 주장인가’ 등의 제 글에 대한 질문이 많았습니다. 그런 저에게 해답을 내려준 것은 바로 함께 활동했던 심꾸미 기자분들의 기사였습니다. 저는 좋은 기사들을 보며 영감과 자극을 느낄 수 있었으며 덕분에 저의 글을 한층 더 성장시킬 수 있었습니다.
심꾸미 활동은 필자로서의 책임감과 기자로서의 관찰력과 심리학도로서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배울 점이 많은 활동이었습니다. 이제 저는 심리학을 좋아하는 심리학과 학생으로 돌아가 독자로서 심꾸미 기자단의 행보를 지켜보겠습니다. 마지막으로 활동에 도움을 주신 한국심리학신문의 모든 관계자분과 저의 글을 관심 있게 읽어주신 독자분들께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sophia2305@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