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박지연 ]


요즘 다른 사람이 공부하는 모습을 보며 자극을 받거나, 공부방법을 배우는 방법 중 하나로 스터디윗미 영상을 시청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스터디윗미란?


스터디윗미(Study with Me)란 학습자들이 유튜브(youtube)를 통해 자발적으로 만든 학습문화로, 자신이 학습하고 있는 과정 전반을 생중계하거나 편집한 영상을 송출하는 것을 말한다(김동심 & 류다현, 2023). '나와 함께 공부하자'라는 이름처럼 유튜버(youtuber)가 공부하는 모습을 담은 영상을 봄으로써 시청자는 함께 공부하도록 유도된다. 유튜버(youtuber)는 자신이 공부하는 모습은 물론이고 공부 방법 및 사용하는 공부 관련 제품(공부템) 등을 공유한다. 스터디윗미를 진행하는 사람은 팬 사각거리는 소리, 모닥불 타는 소리 등 이른바 백색소음을 배경음악으로 설정하여 공부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기도 한다.

 


스터디윗미의 역할


그렇다면 사람들은 왜 스터디윗미를 하고, 보는 걸까?

스터디윗미의 가장 큰 장점은 유튜버와 시청자 모두 함께 공부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유튜버는 시청자를 통해, 시청자는 유튜버와 또 다른 시청자들을 통해 함께 공부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이는 스터디윗미가 소통 창구 및 공감대 형성의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영상을 시청하고 실시간으로 댓글을 남기면서 서로의 공부 고민과 공부량 등을 공유하며 소통하고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유튜브라는 매체가 가진 실시간 연결성을 통해 인지적, 사회적 실재감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장점으로는 서로를 자극하고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이 있다. ‘백지장도 맛들면 낫다.’라는 말처럼 열심히 공부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고 자신의 공부 습관을 되돌아보고 공부에 열중할 수 있게 되는 사례도 많다. 또한, 시청자들은 공부에 일가견이 있는 유튜버의 공부법이나 공부템 등을 배워 자신만의 방법과 습관을 만들어내거나 성적 향상 등을 이루어 내는 경우도 있다. 

 

마지막으로, 자기조절학습 촉진도구로서 스터디윗미의 기능 역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자기조절학습이란 스스로 설정한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학습자가 자신의 인지, 동기, 행동을 점검, 조절, 통제하는 과정을 뜻한다(김동심 & 류다현, 2023). 학습자는 학습목표의 성취 정도를 수시로 평가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학습과정을 조절함으로써 학습 전반을 관리한다.


이러한 자기조절학습을 스터디윗미가 촉진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자신의 공부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은 자신의 공부를 점검하고 자신의 의지와 동기 등을 점검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이른바 호손 효과가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지켜보고 있는 사람이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 행동에 차이가 나는 것으로, 스터디윗미를 하는 유튜버는 호손 효과로 인해 자기조절학습이 더욱 촉진될 수 있다. 다수의 시청자가 자신을 보고 있으면 딴짓을 하거나 계획을 지키지 않는 등의 행동을 스스로 통제 및 조절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처럼 스터디윗미는 유튜버와 시청자 모두에게 함께 공부하는 느낌을 주고 서로를 자극하여 학습능률을 높여주는 등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다. 스터디윗미의 인지적, 사회적 이점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자신만의 방법으로 활용한다면 공부 능률 및 성적 향상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지난기사


어차피 불행할 거라면 같이 죽자 - 누구 마음대로?

‘너 P야, F야?’ 우리가 심리검사에 열광하는 이유

좀 늦을 수도 있지 … 우리 애는 아닐 거야

‘엄마, 나 학교 안가면 안돼?’ 우리 아이 분리불안장애





참고문헌

김동심 & 류다현. (2023). 자기조절학습 촉진도구로서 스터디윗미 화면설계 원리 개발.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6(3), 93-94.

김동심 & 류다현. (2023). 스터디윗미 유튜버 학습자의 참여동기 유형에 따른 하습경험 분석. 평생학습사회, 19(1), 39-67.

박성기. (2021년7월5일). ‘혼공족’ 외로움 달래주는 ‘스터디윗미’. 디지털타임스. `혼공족` 외로움 달래주는 `스터디윗미` - 디지털타임스 (dt.co.kr)

이창환. (2023년2월20일). ‘STUDY WITH ME’ 영상 인기…”고립감 잊고 공부”. 뉴시스. 'STUDY WITH ME' 영상 인기…"고립감 잊고 공부" ::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 (newsis.com)..

정유정. (202년8월11일). [플러스 시민기사-청소년존] 스터디윗미-공부스타그램…코로나 팬데믹 속 새로운 공부법. 경북일보. [플러스 시민기자-청소년존] 스터디윗미·공부스타그램'…코로나 팬데믹 속 새로운 공부법 - 경북일보 - 굿데이 굿뉴스 (kyongbuk.co.kr).

TAG
1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7353
  • 기사등록 2023-10-24 09:43:2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