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조수빈B ]


pixabay

"그때 내가 왜 그렇게 말했을까.. 내가 뱉은 말로 상처받은 사람이 있으면 어떡해?.. 모두 나를 떠나가면 어쩌지?.."

"성적이 낮게 나오면 어쩌지?... 이 학점으로 취업은 할 수 있을까?... 앞으로 나는 뭐 해 먹고 살지?... "

"왜 인사를 반갑게 받아주지 않는 거지?... 내가 뭐 잘못했나?... 나에 대해 이상한 소문이 도는 건 아니겠지?..."


과거에 대한 후회, 미래에 대한 걱정, 나의 부족함 등 끊임없이 떠오르는 부정적인 생각들로 인해 꽉 막힌 호흡을 하며 경직된 시간을 보낸 경험이 있는가? 혹은 지금도 내 머릿속을 가득 채우는 부정적인 생각들로 인해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지는 않은가? 꼬리에 꼬리를 무는 부정적인 생각들은 끝도 없이 번져가 결국 나의 인생을 한탄하게 하고, 무한한 후회의 굴레 속에 나를 가둔다. 



오버씽킹 (overthinking)


오버씽킹 (overthinking)이란, 어떠한 것에 대하여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과도하게 생각하는 것을 의미한다. 오버씽킹을 단순히 나쁘다고 할 수는 없다. 어떤 것에 대해 지나치게 생각함으로써 후에 마주칠 문제나 위험을 대비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지나친 생각이 유발하는 스트레스는 적당한 긴장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적당한 긴장감은 나의 성장에 많은 도움을 주기도 한다. 하지만 자신의 일상생활이나 행동을 과도하게 방해하는 오버씽킹은 나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오버씽킹은 생각과 걱정이 끊임없이 순환하는 것으로, 오버씽킹이 불러온 두려움으로 인해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못하고 무활동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으며, 우울증, 불안 및 기타 정신 상태의 초기 지표 또는 증상이 될 수 있다.



부정적인 생각에서 벗어나는 법


그렇다면 부정적인 생각에서 벗어나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구글 수석 디자이너인 김은주 작가가 ‘생각이 너무 많은 서른 살에게’라는 책에서 제시한 ‘부정적인 생각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7가지 방법’을 공유하고 싶다. 


첫 번째는 ‘시간 채우기’이다. 

이 방법은 시간과 마음을 바쁘게 만듦으로써 잡생각이 비집고 들어올 공간 자체를 주지 않는 것이다. 이 책의 저자는 혼자 다짐만 하고 실행에 옮기지 않을 것을 대비하여, 타인에게 자신의 일에 대해 소문을 내고 공개적으로 약속을 하는 편이라 말한다. 내가 지금 해야하는 일, 내가 지금 하고 싶은 일. 뭐든 좋다. 생각과 걱정의 순환을 끊어버리고 일어나 뭐라도 해보자. 바쁘게 보낸 하루의 끝에 남는 것은 결국 부정적인 생각이 아닌 나에 대한 뿌듯함일 것이라 생각한다.


두 번째는 ‘알아채기’이다.

이 방법은 내가 지금 부정적인 생각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자기 연민, 현실 회피, 자기기만, 자학과 같은 왜곡이 일어나는 것을 경계하는 것이다. 실제로 자신을 객관적인 시선으로 바라보는 것은 부정적인 생각에서 벗어나는 것에 매우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객관적인 판단이 부족하면 우물 안 개구리가 되는 것과 같다. 밖으로 나올 수가 없다. 부정적인 생각이 들 때면 그 감정에 동요하지 말고 내 머릿속에 부정적인 생각이 있다는 것을 의식적으로 인식해보자. 


세 번째는 ‘다른 사람의 말에 큰 의미 두지 않기’이다.

이 방법은 내 마음을 어지럽히는 사람들의 얘기는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리는 것이다. 모든 말을 마음에 담아둘 필요는 없다. 나에게 상처를 주고, 나에 대해 멋대로 이야기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못 들은체해도 된다. 아니, 못 들은 걸로 하는 게 나의 정신건강에 더 좋다. ‘그래서 어쩌라고’ 라는 마인드로 흘려보내자. 


네 번째는 ‘과거와 싸워 이기기’이다.

이 방법은 과거에 대한 상처에 맞서는 것이다. 과거가 현재의 나를 망가뜨릴 수 없도록 말이다. 저자는 과거와 싸워서 이기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훈련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지금의 내가 있는 곳은 과거가 아닌 현재이다. 힘든 과거가 떠올라 나의 마음을 괴롭힐 때면, 지금 여기에 존재하는 나를 의식해보자. 과거의 나와는 다른 지금의 내가 여기에 있지 않은가. 과거에 대한 상처, 과거에 대한 후회 등 과거에 있었던 일은 앞으로의 발전을 위한 지침서로 삼고 나아가자. 과거가 지금의 나를 삼켜버리도록 그냥 놔두지 말자.


다섯 번째는 ‘일기 쓰기’이다.

이 방법은 나의 감정을 글로 써보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기록들이 쌓인 후 다시 읽어보는 것이다. 저자는 일기 쓰기가 자신을 지키는 데 큰 도움이 된 것 같다고 말한다. 필자 또한 부정적 감정이 들 때면 가장 먼저 일기장을 찾곤 한다. 머릿속에서 돌아다니던 감정을 글로 써 내려가는 것은 나의 감정을 정리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위에서 언급했던 객관성을 확보하는데도 기록은 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머릿속에 있는 것을 밖으로 꺼내어보자. 나의 감정을 두서없이 써내려가다보면 한결 편안해진 마음을 가지게 된 자신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섯 번째는 ‘여행하기’이다.

이 방법은 말 그대로 여행을 떠나는 것이다. 일상에 매몰되지 않도록 말이다. 때때로 새로운 환경은 우리에게 동기를 주기도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여행은 충분히 우리에게 긍정적인 에너지를 줄 수 있을 것이다. 다음 여행에 대한 설렘과 동기부여뿐만 아니라 어쩌면 내가 원래 있던 자리가 소중하게 느껴지는 경험도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여행이 마냥 쉬운 것은 아니지만, 가끔이라도, 집에서 멀리 떨어진 곳이 아니어도 괜찮으니 새로운 곳으로 떠나보는 건 어떨까?


마지막 일곱 번째는 ‘운동하기’이다.

이 방법 또한 말 그대로 운동을 하는 것이다. 저자는 운동은 마음 건강의 일등 공신이라 말한다. 운동은 신체적으로 건강해지는 것을 돕는 것뿐만 아니라 잡생각을 줄이는데도, 자신감을 회복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건강한 몸에 건강한 정신이 깃든다는 말이 있듯이 운동은 우리의 삶에 많은 긍정적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한다. 부정적인 생각이 들 때, 몸을 움직이며 잡생각을 날려보는 건 어떨까?



생각의 늪에서 자유로워지자


사실 부정적인 생각에 사로잡혀있을 때면 너무나 큰 무기력으로 인해 몸을 일으키는 것조차 쉽지 않게 느껴질 때가 있다. 또한 부정적인 생각에서 완전히 자유롭기란 어쩌면 불가능한 것일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우리는 불가능함보다 가능함을 믿고, 초월적인 힘보다 내가 가지고 있는 잠재력을 믿으며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사람들이다. 

과거에 대한 후회는 앞으로의 발전을 위한 거름으로 땅에 묻어버리자. 지금 손 쓸 수 없는 일에 대한 걱정은 그 일이 실제로 일어난 후에 시작해도 늦지 않다. 함께 생각의 늪에서 한 발자국씩 빠져나와 젖은 발을 말리고, 가벼운 발걸음으로 더 큰 세상을 향해 걸어보자.

부정적인 생각들로 고통받았던 날들이 무색하게, 넘치는 행복과 행운이 곧 당신에게 찾아오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김은주. (2021). 생각이 너무 많은 서른에게. 메이븐.

StockSnap. (2017). people[사진]. pixabay. 

https://pixabay.com/photos/people-man-guy-frustration-2568886/

Witmer,S .A. (2023, March 24). What Is Overthinking, and How Do I Stop Overthinking Everything?. GoodRX Health. 

https://www.goodrx.com/health-topic/mental-health/how-can-i-stop-overthinking-everything






기사 다시보기 

자도 자도 졸린 당신, 수면장애 의심해 볼 것!

사계절의 시작을 알리는 불청객

슬픔을 나누면 배가 될까? 반이 될까?

Dance with me!

사회의 무법자, 반사회성 인격장애

소문은 왜 와전될까?

약물 중독, 범죄일까? 질병일까?

추억을 이용한 심리치료, 회상치료

평생 20대로 살 수는 없는 걸까?

나는 왜 귀여운 것에 끌리는 걸까?

중독자와 함께 살아간다는 것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8919
  • 기사등록 2024-07-25 15:15:3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