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수
[한국심리학신문=이종수 ]
심꾸미 기자, 자기소개와 지원하게 된 계기
안녕하세요. 이번 심꾸미 9기 원고형 기자로 활동한 이종수 기자입니다. 기자단 지원서를 제출한 게 엊그제 같은데 벌써 6개월이라는 시간이 흘렀네요. 사실 저는 심리대학원을 준비하는 심리학과 학부생으로서 ‘어떤 분야의 심리학에 내가 더 관심을 두고 있을까?’를 시작으로 지원을 했습니다. 막상 대학원 진학을 고려하니 진심으로 제가 관심 있어 하는 분야는 무엇이고, 무엇을 하고 싶은지를 잘 모르겠더군요. 그래서 이번 심꾸미 활동을 하면서 최대한 다양한 분야를 접해보고 호기심이 드는 주제들 위주로 기사를 송고했었습니다.
심꾸미 활동, 무엇을 느꼈나?
이번 활동을 통해 제가 느낀 점은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먼저 제가 글을 잘 못 쓴다는 것입니다. 평소 글쓰기 습관을 보니 생각을 자유롭게 풀어 쓰거나, 간략하게 정리된 글 형식으로만 쓰다 보니 간결하면서 깔끔한 문장구조를 작성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나름대로 깔끔하게 쓴다고 썼지만, 항상 퇴고하는 과정에서 전반적인 흐름의 아쉬움이나, 문장구조가 부자연스럽다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었기에 이러한 점들을 고쳐나가야겠다는 생각 역시 가질 수 있었습니다.
두 번째로는 스스로를 돌아볼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앞서 말한 것처럼 기사를 송고하는데 있어 관심 주제와 분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평소 느꼈던 점들을 머릿속으로만 그치지 않고 글을 작성하면서 정확히 어느 부분에서 어떤 점들을 느꼈는지를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추상적인 생각들이 기사와 만나 객관성을 가지게 되었고, 이러한 객관성이 제 스스로를 돌이켜보는 데 많은 도움을 주었습니다. 또한 <의견 나누기>를 통해 제 기사가 다른 기자님들에게는 어떻게 비추어졌는지를 확인해보면서 생각해보지 못한 부분들까지 말씀해주셔서 감사했으며, 저 역시도 다른 기자님들의 기사를 읽으며 다양한 지식을 축적과 사고의 전환 역시 해나갈 수 있었습니다.
심꾸미 활동. 누구에게 추천하나요?
저는 심꾸미 활동을 특정 누군가에게만 추천하는 게 아닌 자신과 일상에 대한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그 누구든지 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꼭 심리학적 지식이 많지 않더라도 평소에 궁금했던 점들을 자료를 찾으면서 해답에 다가설 수도 있고, 다양한 서적 및 논문을 읽어나가면서 자신을 성장할 수 있다는 확신이 있기에 더 많은 분들이 더 많은 꿈을 심꾸미를 통해 나아가셨으면 좋겠습니다.
심꾸미 활동, 마지막 9기 기사에서 하고 싶은 말은?
6개월이라는 시간이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길다고 할 수 있는데, 그 시간이 저에게는 정말로 보람찼습니다. 어쩌면 그냥 흘러갔을 수도 있는 6개월이, 다양한 기화와 노력으로 가득 채울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을 빌려 심꾸미 9기 기자단분들과 제 글을 읽어 주신 독자분들, 그리고 기사 퇴고부터 송고까지 확인해주시고 피드백해 주신 담당자분들께 정말로 감사드립니다.
기사 다시보기
비슷한 듯, 비슷하지 않은, 비슷한 것 같은 우리의 시선과 판단
고의적 자해를 예방하기 위한 우리들의 노력은 무엇이 있을까?
생각이 많아서 지친 당신이 읽어주었으면 하는 우리들의 이야기
결혼식을 보고 오며, 많은 것들을 느낀 결혼과 가족에 대한 기본적인 의미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stule0706@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