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황세현]


시간의 흐름을 심꾸미 활동의 시작과 종료로써 느끼게 되는 것이 참 묘합니다.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길었던 기자단 활동의 끝을 앞두고 보니 이제야 아쉬움이 조금 몰려오는 것 같습니다. 


먼저, 해보고 싶었던 기자단 활동을 심꾸미로서 한 것을 잘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기사라는 포맷 안에서 제가 쓰고 싶은 것들을 칼럼 형식으로 풀어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단순히 정보 전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주제에 대한 저만의 시각을 같이 제시할 수 있어 저 스스로도 더 신중하고 깊이 있는 생각의 가지를 뻗칠 수 있었습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써낸 기사들이었기에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것 같습니다.


어떤 것에 대해 생각만 하는 것과 그것을 글로 써내는 것은 천지차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체감했습니다. 머릿속에 있는 추상적인 개념이나 아직 채 완성되지 않은 의견 같은 것들이 활자로 옮겨지면서 비로소 형태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표현하자면 고정된 형태가 없이 찰랑이던 물이 얼음으로 변하여 고체의 형태를 띠게 되는 것만 같아요. 


Pixabay

이 얼음은 타인의 의견과 만나 다시 흐르는 물이 될 수도 있고, 다시 얼어 이전과는 다른 모양의 얼음이 될 수도 있겠네요. 이런 점에서 의견 나누기 활동도 의미가 있었습니다. 다른 기자분들의 기사를 읽고 그에 대한 저의 의견을 전달하기도 하고, 저의 기사와 관련해 남겨주신 다른 기자님들의 의견을 보고 그것에 대해 더 생각을 해보기도 하는 시간이었습니다. 기사를 읽는 것 자체도 물론 의미가 있지만 그 속에서 타인의 의견을 발견하고 저 자신의 생각을 더 발전시켜 나가는 기회가 기사 읽기와 쓰기를 더욱 유의미하게 만든다 생각합니다.


삶의 모든 부분에 스며 있는 것이 심리라는 것을 심꾸미 활동을 하며 깨달았습니다. 인간의 삶은 어쩔 수 없이 인간의 심리에 따라 흘러가는 것이니까요. 심리를 이해한다는 것은 곧 인생을 이해하는 것과 닿아있고, 그것은 즉 나뿐만이 아닌 타인과 그의 인생에 공감함으로써 세상을 이해하는 일입니다.


때로는 나의 마음조차도 이해가 안 될 때가 있습니다. 나 자신조차도 이해할 수 없는데, 다른 사람을 이해하는 일은 더 어렵겠죠. 하지만 나는 '나로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닙니다. 나는 다른 사람들과의 교류를 통해 비로소 나다워질 수 있으니, 그들과 연결되어있는 존재입니다. 나를 이해하려는 노력을 꾸준히 한다면 나와 타자, 이 세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심꾸미로 활동하며 얻은 것이 많습니다. 심리에 대한 고민, 생각을 글로 풀어내는 법, 꾸준히 쓰는 책임감... 이것들을 잃지 않고 계속 더 발전시키겠습니다. 

이상 심꾸미로서의 마지막 글을 마칩니다.






기사 다시보기 

[서평] 작은 힘의 누적으로 큰 목표 이루기

저장만 할 것인가, 사용할 것인가

우리는 더 이상 사랑에 빠지기를 바라서는 안 된다

모든 현대인은 잠재적 중독자다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기 위해 살고 있나요?

회피형 인간은 뭘 회피하려고 하는 걸까?

자본주의 사회에서 삶의 의미를 찾는 법

꿈은 어쩌면 예술이다

어떻게 사랑하지 않을 수 있겠어?

혐오가 쉬운 사회에서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나

손민수는 왜 그럴까?

범죄는 왜 저지르게 되는가?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8931
  • 기사등록 2024-08-09 18:49:2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