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노신영 ]


Pixabay‘콤플렉스’란 단어는 우리의 일상에서 종종 사용되고 있다. 자신의 부족한 부분, 마음에 들지 않는 점들을 콤플렉스에 빗대기도 한다. 해당 단어는 흔히 부정적인 것처럼 묘사된다. 그런데 콤플렉스가 과연 우리에게 안 좋은 영향만을 주는 것일까?

 



‘콤플렉스는 건강한 힘’


콤플렉스란 단어는 생리학자 브로이어(J. Breuer)가 처음으로 사용했다. 이후 정신분석학을 창시한 프로이트의 제자들에 의해 정교하게 의미가 다듬어졌다. 대표적인 사람은 융과 아들러다. 우리는 이를 열등감과 같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자면 열등 콤플렉스는 수많은 콤플렉스 중에 한 종류에 해당하는 것이다. 오늘날 열등감과 같은 선상에 두는 것은 아들러의 역할이 크다. 아들러는 열등콤플렉스라는 개념을 고안했고 해당 콤플렉스가 인간 삶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는 인간은 누구나 열등한 점을 가진다고 생각했다. 아들러에 따르면 인생이란 자신의 불완전한 부분을 보완하고자 하는 노력의 연속이다. 이러한 노력의 과정에서 인간은 특정한 분야에서 남들보다 뛰어난 능력을 개발할 수 있다고 보았다. 즉 인생을 살아가는데 추진력이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콤플렉스 자체는 인생을 사는데 ‘건강한 힘’이 될 수 있다. 

 



지나친 집착은 우리를 아프게 한다


Pixabay그러나 지나치게 부정적 모습에 얽매이게 된다면 이는 안 좋은 영향을 미친다. 우리가 부정적인 모습에 지나치게 사로잡히면 콤플렉스에 지배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우리는 이를 어떻게든 숨기려고 노력한다. 이를 열등 콤플렉스라고 부르기도 한다. 반대로 자신의 자랑스러운 부분만을 전부라고 믿고 싶어하고 그 부분만을 사람들에게 보여주려고 할 수도 있다. 이는 과시 콤플렉스라고 부른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콤플렉스가 남에게 드러날까 전전긍긍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불필요하게 에너지가 소모되고 전체적인 정신생활이 불균형을 이루게 된다. 콤플렉스 자체가 병적인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를 질병으로 여기고 되도록 멀리 떨어놓으려 하는 순간 마음의 병을 일으킬 수 있다.

 

콤플렉스는 일반화라는 힘을 가지고 있다. 하나의 생각이 자신이 경험한 과거의 일, 진행 중인 일, 미래에 대한 예상까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상황을 해석하고 받아들이는 일관된 네트워크를 만들게 한다. 또한 그것은 세상을 받아들이는 데 있어서 일방적인 방식을 취하고 모든 것을 지배하려 한다. 다음으로 콤플렉스는 극단화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생각과 감정이 일방적이고 극단적인 쪽으로 흘러가는 경향이 있다. 마지막으로 콤플렉스는 생각을 양극화 또는 이분화하는 경향이 있다. 극단화에 자주 빠지는 사람들은 ‘백퍼센트’, ‘하나같이’란 단어를 자주 사용한다. 

 



조화가 중요하다!


우리는 누구나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다. 이는 어떠한 경험에 의해 만들어지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콤플렉스가 있기 때문에 인생에 의미가 생긴다. 따라서 다양한 정서를 경험하게 해주고 그 경험들은 삶의 에너지가 된다. 또한 감정, 생각, 행동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우리는 콤플렉스와 조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첫 번째로 감정, 생각, 행동의 균형을 잡는 연습이 필요하다. 나 자신을 남들 대하듯 대해보자. 콤플렉스가 남들에게는 아무것도 아닌데 자신에게는 거대한 마음의 짐이 될 때가 있다. 이러한 경우 객관적인 관찰자가 되어 보자. 다음으로 과학적인 질문을 던지는 것이다. 우리가 갖고 있는 신념은 대부분 과학적 근거가 희박하다. 그냥 믿음일 뿐이거나 내가 그렇게 생각하고 싶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내가 지금 그렇게 생각하고 있는 근거는 무엇인지 질문을 던지는 것이 중요하다.


콤플렉스는 우리가 이를 어떻게 대하느냐에 따라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 이는 우리가 인생을 살아가는데 추진력이 된다. 그러나 이에 강하게 사로잡히는 순간 이는 마음의 짐이 된다. 따라서 우리는 콤플렉스와 균형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지난기사

과소비 멈춰! 합리적인 소비자가 되는 방법

우리가 가짜뉴스에 현혹되는 이유

완벽하지 않으면 뭐 어때?

사이비 종교에 세뇌당한 사람들, 그 이유는?

세상을 바라보는 렌즈, 프레임

포모와 조모, 당신은 어느 쪽에 속하나요?

행위에 중독된 사람들에게 필요한 것

사기꾼을 피하는 방법

‘명령’과 ‘복종’을 좋아하는 사람들?

냄새는 우리의 정서에 영향을 미친다?

공황장애'에 대해 얼마나 아시나요?






출처

정승아. (2010). 콤플렉스는 나의 힘. 좋은책만들기.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6868
  • 기사등록 2023-07-30 16:02:2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